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악
언덕
마운트
혼란
산란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천문학이 공포의 과목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칠판 위에서 수없이 그려지는 동그라미의 기억을 지우고 밤하늘의 찬란한 아름다움을 마음껏 숨쉬는 추억을 만들어보자.기초 천문학은 중고등학교에서 교육되고 있지만, 많은 내용을 짧은 시간에 가르쳐야 하는 과학과목의 성격상 교사들이 천문학만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놓여져 있기 때문에 어디에서 보아도 정동에서 떠올라 정서로 가라 앉는다. 어떤 이들은
산
등성이에 걸린 삼태성을 가리켜 '하늘을 오르는 계단'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삼태성의 뚜렷한 모습은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른 별들을 찾는데 좋은 지침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삼태성을 따라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증명해 주는 박물관이다.카사노바와 에스프레소또한 이곳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으로는
산
마르코광장에 면한 유명한 카페인 카페 플로리안(Caffè Florian)을 들 수 있다. 1720년에 창업한 뒤 2백70여년에 걸쳐 베네치아사람들이 사랑했던 곳으로 지금도 19세기 초기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터, 교실. 그러나 오늘의 과학교실은 과연 '탐구와 발견의 기쁨'에 어린 눈빛이 반짝이는
산
교육장일까요?「과학동아」는 올 92년 한해에 걸쳐 과학교사가 직접 쓴 글로 한국과학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자 합니다. 수업현장의 기쁨과 고뇌, 동료교사와 교육부에 대한 제안 등 교실에서 보내는 어떠한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됐다.그의 회사는 내년이면 로열티만도 매년 10억원정도를 회수하는 본격적인 기술생
산
, 판매회사가 된다. 발명가는 더 이상 '거리의 몽상가'일 수 없으며 첨단과학기술시대이므로 창조적 정신의 전문발명가가 더욱 필요하다는 정씨의 야심찬 소망이 실현된다면 우리 발명계는 21세기를 상징할만한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 있을만큼 화성의 중력이 충분치 않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화성의 인력이 약해 이
산
화탄소 등이 대기층으로 두텁게 쌓이지 못하고 우주공간에 서서히 흩어져가곤 했다는 것이다.그러나 NASA연구진의 맥케이박사는 이 중력론자들의 생각이 오류라고 주장한다. 그는 최근의 인터뷰에서 "과거의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전해져 오는 신화속의 이야기도 '눈물의 히아데스'와 아주 연관이 깊다.히아데스는
산
의 요정들로 아주 우애가 깊은 형제들이었다. 어느날 그들의 형제인 히아데스가 리비아에서 사냥을 하다 사나운 멧돼지에게 물려 죽자 그들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먹는 것도 잊고 계속 비통하게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다윈과 마젤란을 사로잡았던 파타고니아는 빙하와 고봉이 어우러져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우리에게는 너무나도 멀게만 느껴지는 남미대륙. 그 ... 이 지역의 중요한 수입원이 될 것이다. 황량하게만 보이는 이 지역에서 앞으로
산
업발전이 급속도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있다.안철수씨외에 바이러스분석과 백신개발에 힘쓰고있는 사람으로는 박명순(고대 전
산
학과 교수) 장진국(한국데이타통신 연구원) 지원우(프로그래머) 김한수(한양대생)씨 등이 있다.'정보사회의 AIDS'로까지 지칭되는 컴퓨터바이러스는 이제 그 대응방법만 안다면 그다지 큰 걱정거리는 아니다.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
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특히 본받아야할 점이라고 하겠다.아직도 EDI가 완전히 뿌리를 내리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
이 적지않다. 우선 지금도 논란이 계속되고있는 표준화문제는 기존의 제도와 절차를 답습하거나 무작정 외국의 것을 모방할 것이 아니라 국내 현실에 맞도록 재구성해야 하며 무역자동화특별법을 제정, 현재 5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