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 이용 조각상 파손 막는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또 보통이라면 침투된 물에 의해 석회암이 녹아 천정에 배어나와 아래로 떨어지는 게
정상
이다. 그러나 이 동굴의 천정은 방습성으로, 그같은 상식이 맞아 떨어지지 않았다. 무엇인가가 암석표면에 막을 만들고 있는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생각했다.조사 결과 암석표면에는 박테리아가 무수하게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 초파리의 돌연변이종으로 그 개일리듬의 주기가 19시간으로
정상
에 비해 더 짧거나 28시간으로 더 긴 개일리듬을 갖는 표현형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기능은 아직도 수수께끼다.이와 같이 생체개일시계에 관한 유전자 수준의 연구는 아직 사람을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70mmHg라고 기록한다.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의 차를 맥압이라고 하며 사람에서는 40~50mmHg가
정상
이다. 혈압은 보통 위팔의 동맥에서 측정하며, 건강인의 최고 혈압은 (나이+90)mmHg, 최저 혈압은 나이에 관계없이 70~80mmHg가 표준이다.대동맥의 혈압은 고등동물에서는 몸이 큰 종류일수록 혈압이 높다. 하등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구조가 바다를 가로지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바다의 용암에 덮혀진 산맥의
정상
이거나 바다의 표면에서 생긴 열구를 따라 그 틈새로 분출된 용암의 줄이다.유명한 직선 절벽과 같이 바다의 수평면에 급격한 불연속 경계선이 생기는 것은 단층의 결과로 생각된다. 가끔 침강된 구덩이의 ... ...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웅장하게 펼쳐지는 총체적인 모습이 아니라 부분적인 모습에 불과했다. 아무리 높은
정상
에 올라갔다 하더라도 산의 한 단면만을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이번에 소개되는 하늘에서 본 한국의 산 모습은 평상시에 접하기 어려운 사진. 사진작가 김정명씨가 각 국립공원의 협조를 얻어 92년 5월부터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데 있다. 92년 중반까지의 자료에 의하면 미르에 장착된 12개의 자이로스코프중에서 7개만
정상
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한다. 1989년 말에 발사되어 미르의 오른쪽에 결합된 모듈(module) '크반트-2'호의 6개의 자이로스코프중 이미 4개가 쓸모 없어졌다. 이 자이로스코프에 의해서 우주정거장이 오차 1㎝ ... ...
곳곳서 기상이변 생태계 파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중 가장 보편적인 에틸렌은 식물체에 해를 끼친다. 특히 꽃잎이 떨어지게 하고 잎이
정상
적으로 피어나지 못하게 한다. 탄화수소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고체성 쓰레기에서, 그리고 산업공정과정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오염농도는 아직 환경기준치를 유지하고 있다.인간의 생활양상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것처럼 만들어 놓고 여기서 작업을 한다. 이를 '스왑파일'이라고 하는데 을
정상
적으로 끝내지 않고 사용 도중 전원이 나가거나, 다운이 돼 재부팅을 했다면 은 스왑파일을 지우지 못하고 이것이 그대로 하드디스크에 남아 있게 된다.이때 재차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SWAP FILE EXIST. DELETE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암주와 다양한 형태의 타원형 암괴인 호박바위들이 발달하고 있다. 3백38m의 인왕산
정상
에는 높이 3m와 폭5m의 암주와 호박바위들이 주변의 푸석바위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수평절리가 발달되지 않은 곳에서는 절리를 따라 풍화작용이 진행됨으로써 암주가 형성되고, 판상의 수평절리와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경통내의 기류나 광학계의 열팽창 적응부족 등의 이유로 광학계의 최대성능을 발휘한
정상
적인 관측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대로 관측을 하려고 한다면 관측 시작 시간 전에 미리 천체망원경을 관측장소로 옮겨 설치한 후 광학계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별히 권하고 싶은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