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5,606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배 표준유전체' 구축...식물 백신 연구 활성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연구는 물론, 산업화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데이터’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니코티니아 벤타미아나 유전체 모식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KAIST, 세계 최대 규모 '암 데이터베이스'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암세포 이미지. wildpixel/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조직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데이터베이스가 국내에 구축됐다. 단일 ... 관문 억제제의 치료 대상군 선정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14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만든 전기장을 감지해 포식자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
결과
를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전하를 띤 물체는 전하를 띤 다른 물체에 힘을 가하는 전기장을 형성한다. 자연에 있는 동물과 식물도 거의 항상 전하를 띠고 있다. 특히 ... ...
유도만능줄기세포서 정자·난자 전 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난자와 정자 생산도 가속화해 생식 의학 분야 연구가 발달하길 바란다"고 했다. 이번
결과
는 생식세포 형성과정이나 불임 메커니즘 등을 규명하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생식세포에 후성적 재프로그래밍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해결해야 할 과제 ... ...
[과기원NOW] KAIST 2024 리서치데이 개최, 방효충 교수 연구대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21일 KAIST 학술문화관에서 열린 ‘KAIST 2024 리서치데이’에서 방효충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오른쪽)가 이광형 총장으로부터 연구대상을 받 ... 금속 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이 크게 개선돼 삼차원 집적구조의 우수성도 증명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및 환경과학’에 최근 게재됐다 ... ...
이광복 연구재단 이사장 "선도형 R&D 체계 논의의 장 열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불확실성이 높은 혁신적·도전적 연구의 특성을 감안해
결과
에 따라 연구자, PM 그리고 각 부처에게 사업, 과제, 인사 등에 불이익이 있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이 이사장은 혁신·도전 연구 체계 변화에서 무엇보다 PM의 역할 변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 ...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광결정' 구현…디스플레이 혁신 이룰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에너지·디스플레이 소자를 혁신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17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이승우 고려대 융합에너지공학과/KU-KIST 융합대학원 교수. 고려대 제공 ... ...
면역항암제 안 듣는 간암 환자, '표적치료제' 쓰면 14개월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유창훈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간암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수술 불가 판정을 받은 간암 환자에서의 표적치료제 ... 간세포암 2차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정확한 근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유럽간학회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 ...
바퀴벌레의 세계 정복, '인간 활동' 덕분에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벗어난 경로를 추적한
결과
에서는 크게 세 가지 역사적 사건과 연관이 있을 것이란 분석
결과
가 나왔다. 독일 바퀴벌레는 2100년 전 아시아 바퀴벌레로부터 갈라져 나왔고 1200년 전에는 중동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기는 이슬람 칼리파국을 지배한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가 무역 ... ...
기계적 강도 갖춘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분산제를 개발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덩어리를 플라스틱 내에 고르게 분산시켰다. 그
결과
기존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 필름과 비교해 재료의 질긴 정도인 인성이 77% 증가한 고강도 생분해성 필름이 만들어졌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 저하 문제를 극복한 것이다. 홍성우 수석연구원은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