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510건 검색되었습니다.
M두창, 에이즈 환자에게 더 치명적…사망률 최대 5배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2
38~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런던퀸매리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M두창이 HIV 환자에게 더욱 심각한 증상을 일으켜 환자 중 약 15%가 사망한다는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랜싯' 2월 2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M두창은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돼 발생하는 ... ...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번식력을 유지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이는 난자 생성이 평생에 걸쳐 계속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네드플레이스 미국 코넬대 수의대 교수는 “연구 결과는 놀라운 발견”이라며 “포유류 암컷이 출생 전에 한정된 수의 난자를 부여받는다는 70년간 확립된 과학계의 정설로 통하던 이론에 도전하는 ... ...
척수 전기 자극으로 뇌졸중 환자 팔과 손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있게 됐다. 손과 팔을 일상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더글러스 웨버 카네기멜론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전류로 감각 신경 세포를 자극해 뇌졸중으로 약해진 근육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며 "무엇보다 자극이 보조적이라 환자가 움직이려고 시도할 ... ...
'페로브스카이트' 세계 최고 기술 보유 한국...상용화 지원은 '초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헨리 스네이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와 리처드 프렌드 미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공동
창업한 벤처 ‘헬리오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첫 투자 유치에서만 50억원을 모았다. 이들이 설립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벤처 ‘옥스퍼드PV’도 2019년에만 1185억원을 투자받았다. 벤처 창업 당사자인 석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뇌 속 자명종 신경회로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 포스텍은 김원배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이상호 부경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으로 분자나 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해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마이크로 패터닝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 ...
쓴맛 없고 향 좋은 오이 개발 위한 유전정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 연구팀이 이기범 충남대 교수, 송기환 세종대 교수와
공동
으로 국내외 69개 오이 유전자원으로부터 쓴맛과 향기 성분을 분석해 오이 육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정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푸드 케미스트리' 온라인판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샐러드나 절임 등 ... ...
AI가 고위험 환자 수술 중 대량 출혈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이형철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으로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수술 중 대량 출혈은 합병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적시 수혈을 통해 출혈을 조절해야 ... ...
지구자기장보다 30만배 높은 자석으로 암흑물질 증거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적어 탐색이 더 어렵다. DFSZ 액시온 탐색은 실험적 난이도가 높아 워싱턴대의 'ADMX' 국제
공동
연구 실험이 유일했다. 세메르치디스 연구단장팀은 실험 매개 변수들을 최첨단 수준으로 끌어 올려 워싱턴대에 이어 두 번째로 DFSZ 액시온 탐색 실험에 착수했다. 액시온 검출 확률은 자기장이 클수록 ... ...
암 유발 DNA와 작용하는 '인간 고유 미니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MDC) 교수와 세바스티안 반 히쉬 네덜란드 프린세스막시마소아암센터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기존 마이크로(미소)단백질 중에서도 아주 작은 크기인 미니단백질의 새로운 종류를 발견하고 인간 세포 내 DNA와 결합하는 양상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세포’에 17일(현지시간) ... ...
[주말N수학] 日 수학자, K-드라마 보고 n차원 별자리 정리 풀었다?
수학동아
l
2023.02.18
2021년 2월 KAIST 수리과학과가 주관한 온라인 강연을 보다가 알게 됐어요. 세키 교수와
공동
연구한 카이 교수가 이 논문의 내용을 설명했는데, 거기서 눈의 여왕 이야기와 함께 세키 교수 일화를 소개한 거예요. 드라마의 자문을 맡았던 한 사람으로서 너무 기뻤어요. 수학 문제를 좋아하고,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