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6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이름 짓고 “크기가 큰 입자의 에너지 상태가 크기가
작은
입자보다 낮아 크기가
작은
입자들이 액체상태로 녹아들어가는 반면 큰 입자들은 점점 더 크기가 성장한다”고 현상을 설명했다. 이 현상을 이용해 연구팀은 균일하고 정렬된 밀리미터 크기의 단결정 이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를 ... ...
[주말N수학]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과학과 수학이었다
수학동아
l
2019.07.27
현대 기술에도 쓰입니다. 모두 삼원색의 조합으로 이뤄져 있어 인쇄물을 자세히 보면
작은
점들의 집합으로 나타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얼마나 조밀하게 만드느냐가 해상도를 높이는 관건입니다. 선과 면으로 표현한 모드리안 쇠라가 점을 이용해 그림을 그렸다면, 선과 면을 ... ...
프랑스 발명가, 비행보드로 영국해협 횡단 실패
연합뉴스
l
2019.07.26
블레리오의 첫 영국해협 횡단 110주년 기념일이었다. 그가 발명한 비행보드는 5개의
작은
터보 엔진을 장착해 한번 급유로 10분 동안 비행할 수 있으며 최고속도는 190km/h다. 조종자의 백팩에 담긴 42ℓ의 연료가 보드로 공급돼 터보 엔진이 가동되며, 급유 없이는 최대 10분을 비행할 수 있다. ... ...
인터스텔라의 꿈 실현할 '우주 돛단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두 번째 우주 돛단배인 라이트세일2호는 돛을 펼치기 전에는 어른 주먹 4개 크기의
작은
위성 모양이다. 이 우주 돛단배는 발사된 뒤 약 한 달간 자세를 잡고 사진을 촬영하는 등 성능 점검을 마치고 지상의 관제소 명령에 따라 36m² 크기의 거대한 돛을 펼쳤다. 명령이 떨어지자 본체에 장착된 모터가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당신의 병명은 ‘나노중독증’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리뷰’에 발표했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나노입자 크기가 웬만한 생체분자보다도
작은
탓에 DNA를 손상시켜 치료가 불가능한 심각한 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루한 현실과 즐거운 가상세계 사이에 갇힌 ‘VR중독’ 지난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 ...
"AI특허 확보에 집중하는 일본, 미래엔 AI로 발목 잡을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증가하고 논문 수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반면 한국의 AI 기업수는 26개로
작은
기업들이 많이 생기지 않는 안타까운 현실이고 인공지능 논문 피인용수도 12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AI와 기계학습을 배우는 학생의 수가 1500명에 육박하는 등 AI 붐이 일며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이들의 생존 전략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동물 플랑크톤은
작은
새우와 비슷하게 생긴 갑각류인 남극 크릴이나 아이스 크릴 등 미세한 크기의 바다 동물을 의미한다. 햇빛에 반응해 수면 근처부터 깊은 바다까지 수직으로 이동하며 남극의 겨울인 4~9월에는 수백m 깊이까지 ... ...
약 1억6천500만년 전 화석서 현대 포유류 설골 확인
연합뉴스
l
2019.07.22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미크로도코돈은 뾰족뒤쥐와 비슷한
작은
동물로, 중생대 시대의 멸종 포유류인 도코돈 계통으로 분류돼 있다. 포유류 설골은 입 안쪽 인두와 후두, 식도 입구를 연결하는 'U자형' 뼈로 두개골에 관절로 연결돼 움직임이 자유로워 혀와 목 근육을 움직여 ... ...
AI, 큐브까지 인간 눌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건축학 교수인 루비크 에르뇌가 처음 개발해 시판됐다. 보통 한 큰 정육면체에 9개의
작은
정육면체가 존재하며 약 4300경의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6면의 색깔이 같아지는 경우는 오직 하나뿐이다. 인간이 가장 빨리 루빅 큐브를 풀어낸 기록은 3.47초다. 연구팀은 루빅 큐브를 빠르게 풀어내는 AI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류 달에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대한 학설이 뒤바뀌었다.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하기 전에는 달이 차가운 상태에서
작은
파편들이 뭉쳐지면서 탄생했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달에서 채취해온 샘플을 연구한 결과, 암석과 미네랄 성분이 지구와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특히 지구 내부에 있는 맨틀과 비슷했다. 그래서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