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760건 검색되었습니다.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교수와 신의철 KAIST 교수
팀
의 연구가 우수한 국내 연구로 꼽혔다. 이정호 KAIST 교수
팀
의 연구 결과. 비라프(BRAF) V600E 돌연변이가 발생해 뇌전증 동반 소아 뇌종양을 유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 KAIST 바이오, 의학 분야 뉴스를 선정하는 일반 뉴스 분야에서는 화제가 됐던 산업 뉴스와 ... ...
美기상학회 “한반도 봄철 이른 폭염 더 심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폭염 특보가 내려졌다. 포스텍 환경공학부 민승기·김연희 교수와 박인홍·이동현 연구원
팀
은 특정 국가나 지역의 대기 움직임 등을 분석해 기후를 예측하는 지역기후모델(RCM)과, 지구 전체의 대기 및 기후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하는 전지구기후모델(GCM) 자료를 이용해 인류의 활동이 개입했을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한다는 필요성이 함께 제시됐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1일(현지 시간) 시각자료
팀
이 이구아수 폭포의 아름다운 모습을 포함해 올해 기사와 함께 사이언스를 장식한 가장 멋진 과학 사진 14장을 공개했다. 이번에 선정된 사진은 장엄한 폭포 사진을 비롯해 자연 사진과 생명의 신비를 더하는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모스 전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15
밝혔어요.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면 대응하는 모스 부호가 LED에 나타난다. 또 각
팀
이 입력한 모스 부호를 듣고 어떤 알파벳인지 맞추는 게임을 하며 모스 부호를 해독하는 연습도 해 봤어요. 수업을 마친 김민서 친구는 “아두이노에 여러 전선을 연결하는 것이 조금 헷갈렸지만, 암호를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② 2024년 누가 먼저 달 보내나 ‘문레이스’
과학동아
l
2018.12.12
태양열 패널이나 옷, 식품까지도 3D 프린터로 찍어낼 가능성이 높다. 지난 8월 NASA 연구
팀
이 달의 극지방에서 찾아낸 얼음(하늘색). 출처 NASA 또 하나 주목할 만한 달 자원은 얼음이다. NASA에서는 이미 지난 8월 달의 극지방에 풍부한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곳에 얼음이 ... ...
출연연 1300여 명 “과기계 적폐 PBS 폐지해달라” 文대통령에 서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등 4가지를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PBS 근본개편 태스크포스
팀
(TFT)’ 주도로 마련된 정부 안에 대한 현장 연구자들의 실망이 매우 크다”며 “제안이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꼭 반영될 수 있도록 대표단이 대통령께 연구자들의 의견과 성명서 내용을 직접 전달해드리고자 ... ...
협상에 성공하려면 중식당으로 가라
동아사이언스
l
2018.12.12
평균적으로 9번의 파업을 하고 협상에 성공했다. 반면 각자 그릇에 담긴 과자를 먹은
팀
은 평균적으로 13번의 파업을 한 뒤에야 협상에 성공했다. 서로 아는 사람을 짝을 지어 진행한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들은 “이런 결과는 두 사람이 서로에 대해 어떻게 느꼈는지와 관련이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올해 3월까지 이들 중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팀
은 없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하쿠토
팀
의 달 탐사 계획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우주 벤처인 아이스페이스(ispace)가 지구와 달 사이를 오가는 ‘달 셔틀’로 로버를 상용화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는 아이스페이스의 최고경영자(CEO)인 ... ...
北 단백질 구조예측 AI세계 수준급…구글 참가 대회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점을 인공지능으로 학습해 염기서열로 구조를 풀었는데, 비슷한 논문을 1년 전에 쓴 연구
팀
까지 이기며 1위를 차지했다”며 “놀란 과학자들이 현장에서 토론을 많이 했다. 데이터 학습에 기반을 둔 인공지능이 근본 원리를 중시하는 기초과학 연구에도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인 ... ...
알루미늄 전지 상용화 난제 ‘양극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알루미늄 착이온을 가둘 수 있어 에너지 밀도도 더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팀
은 기존 전지 공정을 활용해 생산하는 데에도 편리해 상횽화에 유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 교수는 “유기 분자 물질은 유기 합성을 통해 무수히 다양한 구조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게 장점”며 “이번 연구로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