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9800원(생물)교과서 목차에 모든 정보가 들어 있다?! ‘과학동아’에 연재됐던 ‘교과서에
길
이 있다’ 중 수학 편(2월호)과 생물 편(5월호)이 책으로 나왔다. 건물을 지을 때 설계도가 가장 중요한 것처럼 교과서 목차를 이해하면 그 과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수험생들이 대개 문제 유형별로 푸는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사이에 말총으로 만든 활을 끼운 뒤 각각의 줄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다. 세로로
길
게 늘어진 유현과 대현은 입죽 윗부분에 연결된 2개의 주아에 각각 감겨 있다. 주아로는 기타의 튜닝핀처럼 줄을 감거나 풀 수 있다.입죽 아래로는 공명을 일으켜 소리를 크게 하는 울림통이 있다. 입죽과 ... ...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 ‘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진학한 필자를 공학박사의
길
로 들게 한 결정적인 동기는 안성훈 교수의 수업이었다. 그 수업에서 나만의 아이디어를 공학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과 그것을 위한 새로운 제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을 필자의 연구 주제로 선택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중 한국학술진흥재단(현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둥근 선이 그려진다. 이 모양이 자기력이 미치는 힘의 범위와 방향을 보여준다. 또
길
쭉한 막대모양의 자석을 반으로 나누면 N극과 S극으로 다시 나뉜다. 원자 단위에서 전자의 가속운동에 의해 자기력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잘게 나눠도 N극과 S극은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지구 자기의 비밀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향을 받는다. 유미가 소장을 천천히 통과하면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는 시간이
길
어지면서 대장으로 들어오는 유미의 흐름도 줄어든다. 유미가 장을 조금씩 지나가면 대장 끝부분에 있는 짧은 사슬 지방산의 양이 적어지고, 유미가 충분히 지나가야 짧은 사슬 지방산이 생기는 양도 많아진다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에는 듯한 매서운 바람이 불어
길
을 걷는 사람들이 옷매무새를 가다듬는 겨울이면 유독 주목받는 생선이 있다. ‘여름철 홍어는 개도 안 먹는다’ ‘날씨가 차면 홍어생각, 따뜻하면 굴비생각’이란 말처럼 홍어의 제철은 역시 겨울이다. 특히 전라도 사람들의 식생활에서 홍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니 보람이 느껴져.앞으로는 우리 바람이 다닐 수 있도록 도시에
길
을 잘 내 주면 좋겠어. 우리는 마음껏 도시 구경을 할 수 있고, 사람들은 도시가 시원하고 깨끗해지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 아니겠어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대물렌즈의 초점거리는 240m가 되어야 합니다.그런데 대포클럽 회원들이 만든 망원경의
길
이는 85미터에 불과합니다. 아무래도 이번에는 쥘 베른이 계산을 그다지 정확하게 한 것 같지 않습니다. 어쨌든 실제로는 단순히 배율만 높다고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망원경을 크게 만들려면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말 것입니다.자연을 보전하는 것만이 바다 생물과 사람이 함께 긴 태평성대를 누리는
길
이라는 걸 모두 알아야 할 터인데…. 안 되겠구려! 이번 일을 계기로 생활 속에서 바다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여 널리 알리고자 하오. 그러니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은 바다를 생각하는 생활 속 ... ...
어디서든 즐겨라! 디지털 TV의 밑그림을 그리는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누구누구입니다’라고 소개할 수 있는 거죠. 우리 회사에서도 전문 아키텍트를
길
러 내기 위한 시험제도가 있어요. 합격한 사람들은 현장에서 꾸준히 실전 경험을 쌓아요.”김 박사는 학교에서는 기업에서 쓰는 기술과 이론을 모두 배워 올 수 없다며,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빨리 이해하고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