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좀 바꿔볼게! 우리 쥐들이 연구에만 희생되는 슬픈 동물이라고 생각하면 마음 아파. 우리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고, 깔깔 웃으며 놀 줄 안다고! 귀여움도 겸비한 매력 부자 친구들을 소개할게! 간지럼 타는 쥐? 좋아서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 ...
- [영구동토 장례식] R.I.P. 얼음, 이곳에 잠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바쁘신 중에도 이렇게 영구동토 장례식에 와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늘 우리의 발 아래, 추운 극지방의 땅속에 머물고 있었지만 지구 생물들에게 관심받지 못했던 영구동토가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자, 그럼 사라져버린 영구동토를 기리며, 지구 생물들이 차례로 추도사를 낭독하겠습니다 ... ...
- 영구동토, 수십년 째 '핫'해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우리가 오늘 기리는 영구동토가 어떤 곳인지, 영구동토를 비롯한 차디찬 얼음들이 왜 우리 곁에서 사라지고 있는지에 대해 먼저 짚으려고 해요. 영구동토, 80년대 이후 계속 따뜻해졌다!영구동토는 2년 이상 온도가 0°C 이하인 땅을 뜻해요. 기온이 영상으로 올라가는 극지방의 여름 동안에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세히 설명해 드립니다. 퀀텀닷 TV 시대 열린다 ☞ 바로가기 (96p) 퀀텀닷(quantum dot), 우리말로 양자점으로 해석됩니다. 입자가 수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점 상태가 되면 양자 세계의 법칙에 따라 움직입니다. 그리고 놀라운 일이 벌어지죠. 입자의 크기에 따라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무엇이기에 사람들은 그토록 마블링에 열광했던 걸까? 마블링이 주는 맛의 정체는?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기본 맛은 단맛, 신맛, 쓴맛, 짠맛, 감칠맛 등 5가지다. 고기에 들어있는 환원당, 아미노산, 지방산, 핵산 등의 성분은 이 5가지 미각 수용체를 자극한다. 특히 고기 속 글루탐산과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번 연구결과는 윌첵 교수가 언급했듯이 액시온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 존재한다면, 우리가 사는 공간이라는 물질에도 액시온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추후에는 연구팀이 위상절연체로 활용한 바일 반금속 같은 물질을 액시온을 검출하는 ‘안테나’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육체든 컴퓨터든 어느 하드웨어에 담아도 나는 나라는 겁니다. 모라벡 교수는 미래에는 우리 의식이 일종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돼 하드웨어를 옮겨 다니며 영생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프로그램이라면 당연히 복사도 가능하겠죠. 그러면 내 의식을 복사해서 여러 하드웨어에 올린다면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분야에 사용하고 싶다는 제안이 곳곳에서 들어왔다. 이후 우리는 로봇, 지도, 차량 등 이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빌리티 회사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 위치인식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집중했다. 그렇게 정신없이 연구에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신기술은 ‘드론측량’입니다. GPR이 땅속을 보는 탐사법이었다면, 드론은 하늘 위에서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큰 패턴을 읽어냅니다. 사람의 발이 닿기 어려운 곳까지 다각도로 촬영해 유적의 전체 배치를 파악할 수 있어, 발굴현장에서는 2000년 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드론이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전공하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죠. 결국 중요한 건 어떻게 응용하고 발전시키냐예요. 우리가 학교에서 똑같이 수학 공식을 배우지만,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각자 문제 푸는 시간이 다르고, 어떤 사람은 더 좋은 공식을 발견하잖아요. 결국 수학을 공부할 때 원주율의 근삿값이 3.14라고 외우기보다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