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느끼는 것은 지구 인력과 원심력의 합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원심력은 적도부분에서
최대
가 되나 그 크기는 지구인력의 1/2,900에 지나지 않는다지구인력은 지구중심에서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무한원(無限遠)의 거리에 있는 물체에 미치는 지구인력은 0이 된다또한 다른 천체로부터의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일렬로 놓이면 몸 안에 불필요한 공간이 생긴다”며 “예를 들어 고등동물일수록 양분을
최대
한 흡수하기 위해 소장이나 대장이 길어지는데 뱃속에서 일직선보다는 나선형으로 배치돼야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두 번째 가설은 척추동물이 몸의 안과 밖이 모두 비대칭인 원시생물체에서 진화했기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법칙을 드러낼 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디랙이야말로 물리학에서
최대
의 철학적 난제 중 하나를 던진 장본인이다. 디랙은 현대물리학의 중요한 두 축인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결합한 새로운 이론을 창시하는 과정에서 ‘반입자’의 존재를 최초로 예언했기 때문이다.반입자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루 분의 물기를 얻는데 충분하다.연구자들은 “조건이 맞을 경우 침대 매트리스에
최대
1백50만 마리의 진드기가 살 수 있다”며 “자고 난 뒤는 이불을 걷어 매트리스와 이불 사이에 습기를 없애는 게 이들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한편 실내온도를 높이는 것도 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따라 열을 흡수하거나 발열하는 물질의 열화학적 성질을 이용한 것. 뜨거운 열기를
최대
40%가량 차단할 수 있다. 스프레이로 한번 뿌려주면 1년내내 효과를 발휘한다고. 현재 성남 서울공항 활주로와 주변도로에 칠해진 것을 비롯해 미국과 노르웨이에 수출되고 있다.나도 이제 게임 속 주인공 _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강조했다.과학자가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루 방문객 3만2000여명, 이 정도는 국내
최대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의 하루평균 방문객 수와 거의 비슷하다. 그렇다면 CERN은 어떻게 이 많은 사람들을 제대로 맞이할 수 있었을까?운영의 핵심은 CERN 과학자들의 자원봉사에 있었다. 행사장 곳곳에는 50주년 ... ...
가뭄·냉해 잘 견디는 감자와 고구마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3일 밝혔다. 작물 수확량은 가뭄과 냉해, 고온 등 외부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최대
30%까지 줄어들 수 있어 이번 연구는 국내 농업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대서’ 감자와 ‘율미’ 고구마에 환경 스트레스를 잘 견디게 하는 유전자를 삽입해 ... ...
KIST 폭발물 제거 로봇 이라크 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라면박스 정도 크기의 작은 로봇이다. 경사가 45도에 달하는 계단이나 울퉁불퉁한 길도
최대
시속 12km로 달릴 수 있다. 올해 4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로봇경진대회에 참가했다. 현재 자이툰 부대에는 롭해즈와 함께 미국산 대형로봇인 리모텍사 안드로스 로봇이 배치돼 있다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진행되면서 바다가 따뜻해지기 때문에 태풍의 위력도 더욱 커지는 것이다. 현재
최대
위력의 태풍은 5등급으로 초속 69m 이상의 바람과 5.5m 이상의 해일을 동반하며 건물도 무너뜨릴 수 있을 정도의 위력을 갖추고 있다. 5.5등급 허리케인은 태풍 주위의 폭우가 5등급보다 20% 심해지는 등 더 강력해진다 ...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학자의
최대
영예인 노벨상이 올해도 변함없이 10월에 발표됐다. 지난 몇년 동안 노벨 과학상이 실용 기술과 융합 연구에 관심을 돌렸던 것과 달리 올해는 모두 기초과학 연구에 돌아갔다. 폭넓은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운 것이다. 올해 노벨 물리∙화학∙생리의학상을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