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84건 검색되었습니다.
“5G 핵심부품, 작지만 효율 좋게 만들 아이디어 제시했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3.28
통신칩 내부의 전력관리 회로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먼저 통신
장치
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예측해 그만큼의 전력만 공급해 효율을 높이도록 회로를 구성했다. ‘고속 피드백 루프’라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력 소모를 기존의 절반으로 줄였다. 이어 ... ...
하늘에선 제트기, 우주에선 로켓처럼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장치
다. 로켓에서 로켓 부품을 냉각시킬 때 쓰는 기법인 액체수소 연료를 순환시키는
장치
에 헬륨 냉각 루프를 추가해 급속 냉각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고성능의 예냉기를 만드는 것이 어려워 기술이 제안된지 30년이 가깝도록 개발이 더디다가 2012년 리액션 엔진 측이 실증에 성공했다. 2012년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논문이 실렸다.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대)과 일본 도쿄대의 공동연구자들은 정교한 실험
장치
를 만들어 지구자기장 세기의 자기장이 뇌파에 영향을 미침을 입증했다. 이 연구를 주도한 칼텍의 지구물리학자 조 커슈빙크(Joe Kirschvink) 교수는 지금까지 연구가 부실했던 이유를 지구자기장의 ... ...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오염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관측이 가능한
장치
를 개발했다. 이
장치
를 통해 분리막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막 젖음이 발생하는 위치와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서로 다른 막 오염과 막 젖음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어 막 오염과 ... ...
세계 핵융합 전문가 KSTAR 성과 호평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현재 2019년 플라즈마 실험을 위한
장치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오는 8월부터
장치
가동을 다시 시작한다. 올해 세계 최초로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10초 이상 운전 목표로 10월부터 12월 말까지 플라즈마 발생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2018년 KSTAR 플라즈마 1억도 달성의 순간. 국가핵융합연구소 ... ...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한번에 여러 종류의 크리스퍼 효소를 이용해 동시에 여러 유전자 변이를 탐지하는
장치
를 개발할 것”이라며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 기술을 현대 생물학과 결합하면 더 나은 진단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youtu.be/gVFG4LcssbY ... ...
노르웨이 오슬로에 첫 전기택시용 무선충전 승강장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시중에 주로 보급되는 전기차용 급속충전기는 50kW급 충전기로 이번에 공개된 무선충전
장치
는 이의 1.5배 수준이다. 포르툼 측은 “세계 최초로 전기택시를 위한 무선 고속충전 인프라가 될 것”이라며 “전기차를 위한 무선충전 기술의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르툼의 무선충전 ... ...
신재생에너지의 ‘아킬레스건’ 저장문제 연료전지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그러나 기존 상용화된 전기분해 기술과 연료전지는 반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장치
에서 각기 다른 촉매를 사용한다.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성자전도연료전지(PCFC)의 가능성을 모색해왔다. PCFC는 한 시스템 내에서 수소 연료를 만들거나 ... ...
북한 과학 국제연구는 김일성종합대,국내 연구는 김책공대가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주요 연구 키워드는 과학기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체계’나 ‘조절’ ‘
장치
’ 등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저자 이름과 소속, 키워드, 제목을 수집해 논문을 함께 지은 학자들의 관계망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북한 과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중심부에는 ... ...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공간광파면 조절기를 이용하는 대신 액정표시
장치
(LCD) 패널에 비주기적으로 설계된 박막을 추가했다. 박막은 1마이크로미터(μm) 정도의 엷은 물질 층을 뜻하며 비주기적으로 배열된 수많은 구멍으로 구성된다. 박막에 있는 구멍들이 빛을 넓은 각도로 퍼뜨리도록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