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오염 해결책, 엔지니어링 아니라 과학에서 답 찾아야 "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대책의 일환으로 지난 4월 전남 고흥과 보성 일대에서 진행된 인공강우의 실험의
한계
를 지적했다. 이달 16일 공개된 실험 결과를 보면 당시 실험은 비를 내리게 할 구름씨 살포후 구름입자 크기와 구름이 커졌고 당일 실험 지역과 그 인근에서 비가 내렸지만 자연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은 ... ...
생물처럼… 몸속 ‘피’ 흐르는 로봇 물고기가 스르르 헤엄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몸을 움직이게 한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로봇은 구동 시간의
한계
가 컸다. 연구팀은 동물이 피를 동력원으로 활용하듯 액체 배터리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전해액을 활용하는 2차전지인 레독스 흐름 배터리(RFB)를 활용했다. 배터리에 음극액과 양극액을 막으로 분리한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적게 착륙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닥터드론에도 아직
한계
가 있다. 헬기에 비해 기체가 작아 날씨가 나쁜 날엔 비행이 어렵고 먼 거리를 비행하기엔 제한적이다. 전문가들은 태양광으로 자체 충전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또 비행고도가 낮아 ... ...
1㎕ 체액만으로도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중 암세포에서 나온 나노소포체만 선택적으로 분리하는데
한계
가 있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
를 해결하기 위해 암세포의 혈소판에 주목했다. 암세포는 정체를 숨기기 위해 혈소판에 둘러싸인 형태로 혈액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또 이동 후에 다른 곳에 달라붙는 과정에서도 혈소판이 도움을 ... ...
방사능 폐수 속 헤엄치면서 세슘만 잡아먹는 미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많은 준비사항이 필요하다. 사용한 흡착제와 설비를 2차 폐기물로 다시 거둬들여야 하는
한계
도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머리카락 두께의 10분의 1 크기의 미세 수중로봇은 세슘을 흡착하는 페로시안화 구리를 입힌 이산화규소 입자의 한쪽 면에 백금 촉매에 니켈을 코팅해 운동력을 갖췄다. ... ...
유전자 가위 품은 1세대 바이오벤처, 새 이름은 ‘툴제넥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것”이라며 “양사 기술이 상호 보완적이기 때문에 연구역량을 통합하면 기존 치료제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종문 툴젠 대표는 “세계적인 유전자가위 기술 선도기업인 툴젠과 제넥신의 합병은 양사간 최고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 ...
어지럼증 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서울대 공대는 이병호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기존 3차원 디스플레이의
한계
를 개선한 ‘토모그래피 3차원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3차원 디스플레이는 눈의 피로감, 어지러움, 메쓰거움과 같은 문제가 있다. 3차원 영상을 보기 위해 모이는 두 눈의 각도 위치와 ... ...
휘어지는 기판을 센서로...‘판박이 스티커’ 닮은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프린팅 공정은 기존에도 널리 이용됐지만, 최종 기판이 평평할 때에만 활용할 수 있어
한계
가 많았다. 연구팀은 내부에 미세한 구멍이 많고 물과 잘 결합하는 하이드로젤을 이용했다. 하이드로젤을 기판의 형태로 굳힌 뒤, 나노 소재 잉크를 표면에 인쇄했다. 그러자 인쇄된 잉크에 포함된 ... ...
LCD처럼 작동하는 DNA디스플레이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적용해 DNA 기반 마이크로패치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재료로서의 DNA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연어에서 추출한 DNA 물질을 이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잘 정렬된 뜨개질 혹은 아이스크림콘 모양의 기존에 없었던 마이크로패치 구조체를 센티미터 크기의 대면적에서 구현했다. 연구팀은 ... ...
무인기까지 동원한 인공강우 실험 '가능성만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자연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확실한 인공강우 결과인지 확인하는데
한계
를 드러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무인기 협업을 통한 인공강우실험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상청 산하 국립기상과학원이 분석했으며 당초 5월 중순 발표될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