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스페셜
"
100
"(으)로 총 2,8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200을 만점으로 한 도수다. 즉 20도 소주를 프루프로 하면 40이라는 말이다. 예전에 ‘
100
도가 넘는 독한 술’이라는 표현을 본 적이 있는데, 바로 이 경우가 프루프다. 한편 부즈는 술의 속어다. 아무튼 술의 과학을 다룬 책은 맞기에 서평을 읽어보니 꽤 좋게 평가하고 있어 바로 주문했다. 저자 아담 ... ...
[생활 속의 기술] 아이스크림에 대한 세 가지 궁금증
KOITA
l
2014.12.15
새도 없이 아주 작은 알갱이 상태로 순식간에 얼어붙는다. 얼어붙은 알갱이가 50μm(1μm은
100
만분의 1m)보다도 작아 혀에서는 그저 부드러운 크림으로 느껴진다. 질소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기계는 아이스크림 믹스를 얼릴 때 얼음처럼 단단해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얼어붙은 아이스크림을 부수고 ... ...
지역 특색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12
거쳐 메탄 함량이 97% 이상인 고순도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번에 설치되는 시설은 매일
100
톤의 폐기물(가축분뇨 80톤, 음식물찌꺼기 20톤)을 이용해 3000Nm³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활용한 고순도 정제가스는 1856Nm³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는 도시가스화해 주민에게 ... ...
영화 속에서 나타난 바이러스와의 전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의료진을 파견한 국가는 30여 개국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파견할 의료지원단에 이미
100
여명이 넘는 사람이 자원했다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전염병의 경보 단계 중 최고 위험 등급인 6단계가 '판데믹(pandemic)'이다. 그리스어인 '판데믹'은 모두(pan) 사람(demic)이라는 의미로 세계적으로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하마다! 제습기의 소비전력이 적다는 것도 오해다. 일반 가정용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100
~200W인 데 비해 제습기의 소비전력은 200~300W로, 거의 두 배다. 동일 면적에 사용하는 에어컨과 소비전력이 비슷하다. 일단 가동시키면 제습기나 에어컨이나 전기를 많이 먹기는 마찬가지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태양의 지름은 지구의 109배이니 그림에서 지구는 보이지도 않을 크기다. 태양질량의
100
배가 넘는 거대한 별은 우리은하에서도 수십 개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수명이 매우 짧으므로). 모쪼록 추가관측을 통해 W49nr1의 질량이 추정치의 상한선으로 확증돼 ‘가장 무거운 별’로 공인되기를 ... ...
[Green Community_세계녹색명소] '에너지 자립의 미래' 가사도와 삼마도
동아사이언스
l
2014.11.14
신재생에너지와 디젤발전기 없이 1일 정도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풍력발전기는
100
kW급 4대가 설치됐으며, 설치위치는 가사도에서 풍황이 우수하며 육지에 서 조망할 수 있어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선정했다. 전남 진도군 서쪽 해변인 세방낙조는 물론, 목포와 제주 사이를 오가는 ... ...
자기조립 나노물질로 항암치료 신기원 연다
IBS
l
2014.11.13
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항암제 전달시스템의 크기에도 주목했다. 그는 "크기가
100
~200nm로 일정하면 혈류 안에서 오래 순환할 수 있고 특이 펩타이드가 붙어 있으면 암세포에 갈 확률도 높아진다"며 "약효 지속력이 높고 부작용이 줄며 약효도 높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크기가 10nm 이하로 너무 ... ...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완전히 분리됐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이 확인돼 모두 매우 기쁩니다. 무게가
100
kg인 로봇은 초속 1m로 천천히 혜성을 향해 내려가고 있습니다. 착륙 예정 시각은 새벽 1시 3분. 표면은 담뱃재처럼 부드러운 잿빛 가루로 덮여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력이 거의 없는 상태기 때문에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단위면적당 빛 발생 효율이 백열전구의 18배, 형광등의 4배에 달하며 수명도 백열전구의
100
배, 형광등의 10배다. 백색 LED는 일반 LED보다 그보다 효율이 50퍼센트나 더 뛰어나다. 청색 LED 기술은 살균 기능이 있는 자외선램프에도 쓰이기 때문에 보건위생과 생물학 분야에서도 필수적이다. 노벨상의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