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4,4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09
언론이나 방송에서 ‘사람 심장 달린 돼지’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하지만 현단계 과학
수준
에 비추어볼 때 이 말은 잘못된 표현이다. 즉 ‘사람에게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돼지의 심장’을 잘못 받아들여 표현한 결과다. 사람끼리의 장기이식도 거부반응이 있는지 철저한 조사를 거친 후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09
사용한 세포는 태아로부터 얻은 섬유아세포이기 때문에 아직 완전한 성체의 체세포
수준
에서 실험이 성공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 양이 성체로 자랐을 때 젖에서 과연 원하는 성분이 나올지는 두고봐야 안다. 하지만 형질전환기술이 복제기술과 만남으로써 새로운 도약을 이루는 일이 멀지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09
가장 앞서는 제품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방송기기 분야에는 거의 손을 대지 못하는
수준
이다. 이 분야에서는 역시 아날로그 기술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소니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정부는 일본보다 한발 앞서 2001년부터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는 발빠른 정책을 내놓아 안방극장의 혁명이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09
10억원 정도다. 경기도가 이천 도자기를 개발하는데 투자한 비용(1백억원)의 불과 10분의 1
수준
이다. 하지만 국내 지방자치단체가 최초로 제약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는 점 때문에 연구원들은 든든한 버팀목을 얻은 느낌이다.“물론 제약업체 지원뿐 아니라 본연의 업무인 신약 개발에도 많은 힘을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09
치료제가 상품화되기 직전 단계에 이르렀다.이 분야에 관해 한국은 외국과 비슷한
수준
에 이르고 있다. 인간의 모유를 닮은 우유, 빈혈치료제, 그리고 백혈병치료제를 만들어내는 보람이(젖소)와 새롬이(돼지), 메디(흑염소)가 그 주인공이다.1996년 11월 국내 최초로 인간의 유전자를 가진 숫소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09
머물고 있다. 냄새를 맡고 맛을 보는 로봇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들리기도 하지만 그
수준
은 매우 낮다.이처럼 로봇의 감각기관이 발달하지 못한 것은 결국 로봇의 지능이 낮기 때문이다.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를 해석해야 하는데, 이를 판단할 능력이 로봇에게는 없는 것이다. 센토의 경우도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08
전자동의 40평, 영상동의 15평 남짓한 공간이 공장이다. 이곳이 바로 세계 최고
수준
의 앰프를 세계시장에 내놓을 꿈의 공간인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음악이 원음보다 더 아름답고 웅장한 음으로 탄생하는 것은 시간 문제다 ... ...
한국의 SF
과학동아
l
199908
우리나라 SF는 척박한
수준
에 있다고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한다. 외국저작을 번역한 작품은 많지만, 국내의 창작활동은 그리 왕성하지 못하다. 또한 SF를 대하는 대중들의 태도도 우리나라에서 SF가 꽃피지 못하는 한 요인이라고 한다. 한국의 SF는 과연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그 전망을 가늠해보자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08
1세기를 코앞에 둔 시점이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SF는 척박한
수준
에 머물러 있다. 이 독특한 분야에 대해 대다수 사람들은 여전히 유치한 싸구려 대중문학이라는 선입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일부는 복잡한 과학기술의 계몽수단 정도로만 이해한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SF 작가지망생들조차 ... ...
뇌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할까
과학동아
l
199908
주스를 주었으나 양을 달리 했다. 그 결과 행동
수준
에서 나타난 원숭이들의 선택과 뉴런
수준
에서 기록한 뇌의 활동도가 모두 주스가 주어질 가능성과 혹은 그 양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지금까지 단순한 ‘반사’개념으로 뇌의 ‘감각’과 ‘운동’부분을 구분짓던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