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도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항원을 무력화할 능력을 갖춘 셈이다.자연살해세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수지상세포를 통해 항원에 대한 교육을 받은 T림프구나 B림프구가 오기 전에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공격할 세포(항원)를 인식해 완전히 사멸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독성이 약해지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바이러스로 백신을 만들기도 한다. 이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바이러스 자체를 접종하는 백신이다. 최초의 현대적인 백신인 우두법도 이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결과였다.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1798년 증상이 천연두에 비해 비교적 약한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핵산 백신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백신 개발 전략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DNA, RNA 같은 핵산이 주성분이다.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백신 연구자들은 바 ... 백신 ‘GX-19’로 국내에서는 처음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코로나19 백신 속도전에서는 핵산 백신이
가장
앞서있는 셈이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얻으려면 아직도 엄청난 수의 사람이 질병에 걸려야 하는 셈이다. 집단면역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다.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코로나19는 매우 위험하고 해로운 질병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참여한 그랜트 연구원도 그중 하나입니다.시민들의 연구 수준 역시 상당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발표는 개구리 ‘스포티드 그래스 프로그’의 울음소리가 지역마다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연구였습니다. 이를 발표한 시민은 FrogID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했습니다. 데이터 자체의 한계로 온도와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실제론 점차 높은 고도로 오르고 있거든요. 따라서 EAV-3가 날 수 있는 하늘 공간의
가장
앞에서 비행하기 시작하면, 제트기류의 강한 바람에 뒤로 밀리더라도 결국 성층권까지 오를 수 있겠죠. 용어정리* 제트기류 : 고도 10km 부근에서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하게 부는 현상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4개의 층으로 나뉘어요. 그중 우리가 사는 곳은
가장
낮은 층인 대류권이지요. 대류권은 영어로 troposphere라고 하는데, ‘회전, 섞다’를 뜻하는 그리스어 ‘tropos’에 ‘영역’을 의미하는 영단어 ‘sphere’가 합쳐져 만들어졌어요. 대류권에선 공기가 섞이며 열이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빛의 각도를 고려하며 다이아몬드를 깎아내야 찬란하게 빛나지요. 다이아몬드가
가장
빛나는 모양은 58면체인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았을 때예요. 브릴리언트 컷이 바로 다이아몬드를 떠올렸을 때 흔히 떠올리는 형태이지요. Q 아침에 키가 컸다가 오후가 되면 다시 줄어드는 이유는 뭔가요?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 알고리듬으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수색할 곳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5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요소는?외계인의 존재 유무를 밝히는 다양한 방정식이 이미 만들어져 있었어요. 그중
가장
유명한 건 미국 천체물리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외계인을 찾을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알기 위해 고안한 ‘드레이크 방정식’입니다. 드레이크는 1961년 미국 그린뱅크에서 열린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SETI)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