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포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24화. 운명처럼 만난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행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수학 로그를 마무리하며 그렇게 박사 과정을 시작한 게 2012년이니, 벌써 9년 전이네요. 그 사이에도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어요. 하지만 저는 같이 수학의 길을 걸어가며 만난 사람들 덕분에 아직까지 수학을 하며 지낼 수 있는 것 같아요. 수학자가 되기로 한 이상, 수학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주 목요일엔 개미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나라를 지키는 동안에도 여러분들의 탐사 열정은 변치 않을 것이라 믿고 있어요. 약 2년 동안 얼마나 많은 개미 기록이 쌓일지 기대할게요. 여러분, 개미 탐사 많이 해 주세요 ... ...
- [할말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보호종이 되기도 전에 절멸할지도 몰라! 노랑배청개구리를 지켜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걸까요? 노랑배청개구리와의 인연은 약 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요. 2013년 초등 5학년 때 를 통해 수원청개구리를 처음 알게 되곤 실제로 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부모님을 설득해 지구사랑탐사대 1기를 시작하게 되었죠. 그 당시 저는 개구리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지만, 현장 ...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래서 조리도구를 통한 식중독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지요. 이경균 선임연구원은 “3년 뒤에는 이 기술이 현장에서 널리 쓰이고 있을 것”이라며 “식중독균뿐 아니라 다양한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활용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답니다. 이경균(나노종합기술원 나노바이오기술센터 ...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중 절반이 노후 하수관 손상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서울시는 매년 하수도를 점검하고 보수하고 있어요.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하수도 결함을 더 효과적으로 찾아낼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했어요. 우선 CCTV가 촬영한 하수도 안 영상을 ... ...
- [지구사랑 탐사 현장 취재] 전기차, 매미, 개구리를 살리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단, 바닷물과 하천이 만나는 ‘기수지역’에서 개구리가 살 수 있어요. 지난 2016년에 이런 환경에서 올챙이를 발견해 논문을 발표했답니다.”허경만 연구원은 개구리가 살 수 있는 바다 지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었어요. 허경만 연구원은 청개구리가 염분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인 ‘내염성’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만약에 What If Korea 지구에 토성처럼 멋진 고리가 있다면 어떨까요? 삽화가 론 밀러는 몇 년 전 이런 상상을 그림으로 옮겼어요. 그의 그림에서는 아름다운 고리가 밤하늘의 절반을 가로질러 하얗게 빛나는 장관이 펼쳐졌죠. 그런데 지구에 토성처럼 고리가 존재하면 밤하늘 풍경만 바뀌는 게 ...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문 닫힌 가게의 유리문을 거울 삼아 그 앞에서 춤을 연습하곤 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친구들과 댄스팀을 만들어 학교 행사에서 공연도 했지요. 고등학생 때는 서울로 가서 가수 김원준, 코요태 등의 백댄서(가수 뒤에서 춤추는 사람)를 하면서 춤을 배웠어요. 춤을 잘 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 [특집] 뱀파이어의 송곳니는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악마와 있던 방보다 더 으스스한 분위기를 풍겼어요. (※뱀파이어 수라는 이름은 1994년 미국의 과학 칼럼니스트 글리퍼드 앨런 픽오버가 처음 쓰기 시작했어요. 가장 작은 뱀파이어 수는 1260이고 1395, 1435, 1530…으로 무한히 이어져요. 1260처럼 송곳니 쌍이 21과 60으로 하나인 뱀파이어 수뿐만 아니라 ... ...
- [과학뉴스] 인간에 돼지 신장 이식, 이종간 이식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나타났다. 어떤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수술을 집도한 몽고메리 센터장은 10년 안에 심장, 폐, 간과 같은 돼지의 장기들이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그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의학계와 과학계는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이종간 이식을 50년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