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3,58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식물은 줄기에서 광합성
과학동아
l
199208
봐야 할 것이다. 과연 어떠한 식물들이 미래에 나타날 식물들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우선
생각할 수 있는 종류는 수명이 짧은 식물이다. 비가 흠뻑 내리면 발아하고 단기간 내에 자라 개화하고 결실을 맺는다. 그리고 종자 상태로 다음 비가 올때까지 견뎌낸다. 짧으면 1개월 정도로 일생을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08
지구를 돌면서 어떤 일을 하는 것일까. 이 위성에 주어진 임무는 크게 네가지가 있다.
우선
CCD카메라가 실려 지구 사진 특히 한반도 사진을 찍는다. 카메라는 두대인데 하나는 저해상도(점 하나가 4.8km)이며 하나는 고해상도(점 하나가 3백40m)이다. 이 정도의 해상력을 가진 사진은 활용이 ... ...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08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도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출연연구소의 기능재정립은
우선
국내적으로 대학과 기업의 연구기능이 높아지고 있고 국제적으로 환경 등 국가적인 장기 대형 프로젝트의 필요성 대두와 정부의 과학기술 지원 제한 움직임 등 새로운 국제질서가 재편되고 있는 만큼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08
할 수 있지만 '35678+45632'와 같은 계산은 암산으로 해내기 어렵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우리 머리속에는 이미 더하기나 곱하기(+, ×:연산자라고 한다)를 하는 원리가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연산의 대상이 되는 숫자(피연산자라 한다)도 기억이 되어야 비로소 암산이 가능하다. 결국 '300+200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08
필요가 없다"라는 말이 이에 상응되리라 생각한다.1990년 여름 스티븐 호킹의 업적 중
우선
검은 구멍에 관한 것만을 모아 책을 쓰면서, 나는 호킹은 도대체 어떤 교육을 받았을까 하고 매우 궁금해 하였다. 물론 단편적으로 들은 얘기들과 내가 직접 케임브리지 천문학연구소를 방문하였을 때 느낀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탱크
과학동아
l
199207
처리할 수는 없을까.대기가 아니라면 이산화탄소는 육지와 바다밖엔 갈 곳이 없다.
우선
육지를 살펴보자.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나무다. 탄소동화작용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구의 열대림은 점차 파괴돼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이산화탄소 처리공장인 열대림이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07
광석을 금속(철)으로 환원시킨다. 쇠부리가마터는 지리적인 조건으로 울창한 삼림자원이
우선
필요하며 둘째는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아늑한 산기슭이 필수적이다. 또한 가마안에 바르는 진흙 성분에 알루미나와 실리카가 풍부해야 하므로 이러한 성분을 포함한 진흙을 갖추고 있어야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07
것도 포함된다).컬러모니터만 있으면 컴퓨터의 컬러화가 가능할까. 천만의 말씀이다.
우선
컬러화를 위해서는 컬러모니터와 컬러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 또 컬러그래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성능이 높아져야 한다. 컬러를 처리하려면 아무래도 고속과 대용량의 처리능력을 필요로 하기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07
성인의 경우 코 잘 고는 사람이 따로 있다. '코 잘 골게 생겼다'는 말도 그래서 나왔다.
우선
비만한 사람이 그 범주에 든다. 뚱보들은 일반적으로 목이 굵고 짧으면서 후두부가 좁기 때문이다. 대개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은 입천장구개 구개수 목구멍 벽이 정상인보다 두껍다.또 '무턱'이라고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07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것이다. 로켓 개발에는 크게 네가지 분야의 기술이 필요하다.
우선
은 로켓의 껍데기라 할 수 있는 구조동체 기술이다. 가벼우면서도 강한 소재를 개발해야 하는데 고력알루미늄이나 복합소재의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번 로켓에는 당장 국산제품을 쓰기 어렵다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