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울진에 사는 산양의 개체수를 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밝힌 연구도 유전자원은행의 연구 덕분이다. 또 우리나라의 고유종과 자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는 연구에도 도움을 준다. 유전적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멸종위기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또 ...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가열해 토카막 안에 투입하는 ‘중성입자빔가열장치’가 큰 역할을 했다. 이 장치 덕분에 KSTAR는 핵융합 플라스마를 토카막 안에 가두는 효율을 두 배 이상 높일 수 있었다. 예상보다 1년 이상 빠른 성과다.황 교수팀은 온도가 수 천만~수 억℃에 이르는 플라스마를 효과적으로 가둬 운전하는 ... ...
- 인간 발전소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기존 나노발전기보다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티탄산바륨(BaTiO3) 나노 신소재 덕분이다. 지금까지 왕종린 교수 연구팀이 사용했던 산화아연보다 물질 고유의 압전 효율이 10∼30배가량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로봇미생물 바이오 ...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다른 수학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해 다른 학문에도 큰 영향을 미쳤어. 프랙탈 차원의 정의 덕분에 자연 현상에 대한 설명은 물론 과학 분야와 의학 분야 연구에도 활기를 띠게 됐으니까. 예를 들면, 어떤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어떤 항체의 경우 바이러스와 항체가 결합하는 부분이 약 2.4차원으로 같아 ...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생겨 썰매 전체가 받는 큰 소용돌이(공기저항)를 줄일 수 있다. 나노구조 외피 덕분에 썰매가 받는 공기저항은 최대 90%까지 줄어든다.썰매의 전조등에도 첨단 기술이 숨어 있다. 전조등에는 레이저 센서가 달려 있어 내비게이션 역할도 한다. 앞으로 다가오는 공기의 온도와 흐름을 측정해 가장 날기 ...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이후로 기권, 수권, 암석권, 생물권 사이의 복잡한 연결과 순환 과정에 대한 연구 덕분에 가이아 가설의 일부는 지구시스템공학이라는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아직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 이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이아 이론에서 가이아(지구)는 ... ...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에코 투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가장 멋들어진 장면을 만나기 직전, 두 눈을 감는다. 그리고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박하향일까, 소다 맛일까.숲에서 나는 싱그러운 향기에 코끝이 찡해진다. 도시의 공해에서 벗어나 ... 더불어 자연 속에서 살아가려는, 캐나다 인디언들과 현재 그곳을 지키는 사람들의 마음 덕분이다. ...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적당히 마시면 몸에 좋다는 이야기도요. 그게 다 토마토의 붉은 색과 포도의 보랏빛 덕분이거든요. 청이 아~, 들은 적 있어요. 토마토의 붉은 빛은 라이코펜이라는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내죠?김 박사 네, 사과와 딸기, 체리, 수박이 빨간 이유도 라이코펜 때문이랍니다. 라이코펜에는 ... ...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야. 건축가 믹 피어스라는 사람이 우리 흰개미 집을 본떠 만들었단다. 이런 건축기술 덕분에 일반 빌딩보다 전기에너지는 85%, 가스는 87%, 물은 72%나 적게 쓴다고 해. 자연을 본떠 에너지를 적게 쓰는 기술, 정말 신기하지? 자존심이 상하긴 하지만 이 빌딩에서 더 찾아 낸 과학 기술을 우리 흰개미 ... ...
- 달콤살벌한 먹이사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쉽게 무당벌레를 찾을 수 있을 거야! 이게 웬 떡, 아니 웬 무당벌레? 이 칠성무당벌레 덕분에 나 거미는 오늘도 굶지 않고 하루를 보낼 수 있게 됐어! 야호! 참, 나는 곤충이 아니란다. 곤충은 다리가 여섯 개지만 나는 여덟 개거든. 그래서 나는 생물학적 으로 곤충과 따로 분류돼. 역시 나 참매의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