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생리통의 1차 선택제제이기 때문이다. 속이 쓰린 이유는 이부프로펜이 통증을 억제하는
방식
때문이다. 이 성분은 우리 몸에 염증을 만드는 콕스(cox)라는 효소를 억제해 통증을 없앤다. 그런데 이 효소가 억제되면 위 점막보호물질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필자처럼 민감한 사람은 속이 쓰리기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표본을 두는 곳에서 새나오는 기체를 붙잡는 것이 핵심이에요. 그런데 스테이지 개조
방식
에서는 전자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기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아놓았어요. 기존의 전자현미경을 약간만 개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성공 확률이 낮다는 게 단점입니다(어이, 투자자들! ... ...
[7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노력이 느껴지는 인포그래픽이다. 수집한 자료와 취재한 내용을 어떻게 선별해서 어떤
방식
으로 정보를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은 금성일식을 직접 관측하고 썼다. 어쩌면 우리 생의 마지막 금성일식일지도 모르는 ... ...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 로봇에는 인간의 손가락 끝을 흉내낸 촉각 센서가 달렸다. 또 인간이 물질을 탐색하는
방식
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활용했다. 센서는 물체의 온도까지 구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센서의 이름을 ‘바이오택(BioTac)’으로 지었다. 바이오택은 부드러운 피부로 감쌌으며 내부를 액체로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위치와 음성 명령에 따라 개가 움직이도록 훈련을 시킨 후 실제 개의 움직임을 조종하는
방식
이다. 예를 들어 개에게 ‘달려(run)’라는 명령어와 짧게 좌우로 진동을 주면 앞을 향해 달린다. 좌회전은 왼쪽에서 짧게 한번만 진동을 준다. 조종자는 개의 위치와 움직임을 GPS를 통해 정확히 파악한다.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오직 ‘금메달’을 위해 하나가 된 이들을 소개한 영화가 있다.영화 는 연습
방식
, 생활
방식
, 말투까지 전혀 다른 남북 선수들이, 남북 분단의 아픔을 ‘탁구’로 극복하는 과정을 그려냈다. 수학을 쏙 빼닮은 탁구를 통해 하나가 되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수학과 탁구는 닮은꼴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혼용하고 있다.완전한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과학자들은 아예 사람의 뇌와 같은
방식
으로 작동하는 기계를 만들고자 한다(과학동아 3월호 특집기사 ‘인공 뇌’ 참조). 뇌 전체의 일반적인 작동 알고리듬을 알아내고, 그것을 통해 기계를 학습시키려는 것이다. 필자의 연구실에서도 뇌세포라는 ... ...
유리의 무한변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가지가 뻗어나가듯 유리 선 중간 중간 열을 가한 뒤 녹은 유리를 잡아 늘려 서로 잇는
방식
으로 만들었다.][▲푸른 눈동자 | 홍진선 - 푸른 유리로 눈동자를 만든 뒤 그 위에 투명 유리를 겹겹이 덧대었다. 수십 개의 눈동자가 마치 우리를 감시하는 듯하다.▶깜찍한 로봇 | 김세영 - 너트와 전자기판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힘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실험에 성공했다.뇌에 전극을 직접 이식하는
방식
이 정확하고 편리하긴 하지만 위험이 따른다. 임창환 교수는 “뇌를 건드리는 수술인 만큼 간질이 생길 수 있고, 감염의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문제점도 있다. 임 교수는 “전극을 이식한지 5년이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엉덩이춤’ 부터 집짓기까지 감동적이기까지 했던 이 장면을 보면서 벌의 협업
방식
에 관심이 갔다. 이런 ‘비상상황’에서도 군집을 살리기 위해 집단 행동을 했다면,평소에는 얼마나 정교한 협업을 할 수 있는 걸까.잘 알려져 있듯 일벌은 바깥에서 일하다 꿀이 있는 꽃을 발견하면 집에 돌아와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