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조기졸업생 낸 민족사관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우리 교육현실을 개탄했다.“조그만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이 무슨 욕심 때문에 6
백
억원이라는 거금을 민족사관고에 투자하겠는가.” 도와주지 않으면서 끊임없이 간섭하는 정부, 그리고 학생들의 장래를 망치려 한다고 학교를 불신하는 학부모들 때문에 최 이사장은 끊임없이 눈물을 흘려야 ... ...
4. 나스카의 문양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내용을 담은 책 '신들의 전차'는 놀랍게도 세계적인 선풍을 일으켰다. 10년 사이에 3천5
백
만부가 팔리는 초베스트셀러가 됐다. 더욱이 당시 세계적으로 일고 있던 UFO(미확인 비행물체)의 열기에 편승해 그의 주장은 수많은 호사가들의 주목을 받았다.그러나 다니켄의 설명은 즉시 수많은 반박에 ... ...
최다 비행기록 세운 콜롬비아호 해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방치해둔 '우주 토마토' 씨앗 1천2
백
50만개를 회수해 각 나라에 보냈다. 우리나라에도 3
백
세트가 보내졌다.같은 해 12월 우주여행에 나선 반스 브랜드는 59세의 나이로 우주비행에 나서 가장 나이 많은 우주비행사가 됐다. 반스와 함께 탔던 4명의 천문학자들은 우주강의를 통해 학생들과 수업을 ... ...
5. 21세기 비트혁명, 생물과 무생물 경계 허문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선폭은 78년 3미크론(${10}^{-6}$m)에서 95년에 0.35미크론으로 줄었다.머리카락 한 올이 1
백
미크론 쯤 되니, 이보다 2
백
85배나 좁은 간격에 촘촘히 회로를 새겨넣을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한 것이다. 더욱이 이 기술은 앞으로 2011년경이면 0.07미크론까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이렇듯 정신없이 앞만 ... ...
98년 이끌 인터넷 핫이슈 4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대한 욕구들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붐을 타고 초당 1
백
28k를 전송하는 ISDN 가입자는 서비스 실시 1년도 채 못돼 이미 10만명을 넘어섰다. 이에 고무된 한국통신과 업계에서는 ADSL과 같은 고속통신 서비스를 개발해 빠르면 올 초부터 대단위 시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
2. ISDN, 케이블 TV망으로 인터넷 속도 비약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대대적으로 보도했다.케이블TV망의 속도는 기존 모뎀의 3
백
배, ISDN에 비하면 30배 이상 빠른 30Mbps. 이미 작년 12월 중 영등포와 여의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범 서비스 대상을 모집하기 시작한 두루넷은 실제 서비스 제공시 이익 분배 방식까지 컨텐츠 및 프로그램 공급 ... ...
냉동 붕어 되살리기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1mL당 50-1
백
mg의 포도당을 가지고 있는데, 개구리는 몸이 얼기 시작하면 체액 1
백
mL당 4천5
백
mg라는 많은 양의 포도당(간 속에 저장해 두었던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재빨리 전환한다)을 세포 내부로 보내 세포가 어는 것을 막는다. 이것이 추운 겨울을 나는 변온동물인 개구리의 생존방식이다. ... ...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중국과 만주에는 20여 마리, 그리고 북한에 5-10마리가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편 5
백
여 마리의 동북아 호랑이가 세계 각국의 1
백
60여 동물원 등에서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밀렵으로 죽어 가는 호랑이들현재 자생지에 사는 야생 호랑이의 수는 격감일로에 있다. 호랑이 수가 ... ...
쥐라기 공룡 만들어낸 조지 칼리슨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거의 1억5천만년에 이른다. 이 사이에 수많은 공룡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그러나 6천5
백
만년 전 갑자기 모든 공룡이 멸종한 것은 운석 충돌 때문이라고 본다. 최근 내 친구 중 하나가 멕시코 바다 밑에서 1
백
60km에 달하는 운석 구덩이를 발견했다. 그곳에는 지구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이리듐이 많이 ... ...
2. 이스터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상륙한 다음날 여러가지 색을 몸에 칠한 원주민의 환영을 받았다. 그들은 보통 사람 키의
백
인이었다.이후 이스터섬의 거대한 석상은 세계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1968년 스위스인 다니켄은 주민들과 밀접한 대화를 나눈 결과 이스터섬에 있는 거석들의 진상을 알아냈다고 발표했다. 그의 말은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