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이런 항체가 엉뚱하게도 뇌의 특정 부위를 공격할 수 있다. 대
부분
의 자가면역질환이 이런 이유로 사춘기 때 처음 발병한다.서 기면증이 함께 나타날 확률은 30%에 불과하다. 선천적으로 하이포크레틴 세포체를 절반만 갖고 태어난 일란성쌍둥이라도 졸린 증상이 없으면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근무할 때 ADHD 환자를 수없이 봐왔다. 성인 ADHD에 대한 인식이 낮을 때였으므로 환자는 대
부분
어린이와 청소년이었다. 하지만 최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성인도 ADHD에 취약하며 어릴 때 ADHD를 겪지 않고도 순전히 현재의 스트레스만으로도 증상을 겪을 수 있다는 사실을 ... ...
[과학뉴스] 명예퇴직한 아버지가 유난히 늙어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연구를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
부분
에 달려있는 염기 서열로 유전정보를 가진것은 아니지만 DNA가 복제 될 때 염색체 끝이 바깥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NA가 소실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세포분열이 지속될수록 텔로 미어는 점점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활동할 때가 바로 적숙기이며, 이 시기에 유산균 수도 가장 많다. 줄기와 같은 고형
부분
1g에 1억 마리가 넘는 유산균이 있는데, 이 숫자는 고농축 요거트와 비슷하거나 더 많다.적숙기가 지나고 과숙기와 산폐기에 이르면 탄산까지 만드는 웨이셀라 균과 루코노스톡 균의 활동이 줄어들고, 젖산만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먹을 수 있지만, 개나 고양이만 해도 혀를 이용해 물을 떠먹어야 한다. 포유류는 턱의 끝
부분
에 있는 깊은 틈을 경계로 입술과 턱뼈가 완전히 분리돼 있다. 덕분에 안면 근육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공간이 생겨 자유롭게 움직이는 게 가능해졌다. 일부 설치류는 입술이 어금니가 있는 곳까지 길게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소수도 다시 쪼개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어요.”김 교수는 “소수가 지닌 매력의 상당
부분
은 그 구조의 이해하기 어려운 본질에 있다”며 완전히 이해하고 나면 오히려 그 매력이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했다.하지만 말과는 다르게 공상이 공상으로만 끝나지 않고 현실이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사람이 마음먹기에 달린 것입니다. 모든 경험에는 부정적인
부분
이 있지만 긍정적인
부분
도 있습니다. 실패한 경험도 당연히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실패에 크게 의미를 두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최 교수의 가정은 화목했고 특별히 어려움이 없었다.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쎄트렉아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위성 수출 기업이자 우리나라의 위성 관련 수출의 대
부분
을 차지하는 회사로 우뚝 성장한 것이다. *국가 주도 개발, 운용 위성 이름 발사 시기 임무 우리별 1호 1992년 위성 제작기술 습득 우리별 2호 1993년 소형위성기술 획득 우리별 3호 1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말을 전했다. 급하게 마을을 떠나느라 연료를 충분히 구할 수가 없었다. 모자라는
부분
은 가는 길에 다른 도시에 들러 해결하기로 했다. 그러나 그곳은 사정이 더 좋지 않았다. 어차피 폐허이기는 마찬가지였으나, 소식이 느렸는지 판단이 느렸는지 미리 공습에 대비하지 못한 까닭이었다.“여기서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사람은 몇 명 안됩니다. 그만큼 많이 파야 되고 즐겨야 합니다.” 김 교수가 관심을 가진
부분
은 학계에서 찾아내지 못한 틈새다. 김 교수는 나중에 교환교수로 갈 기회도 많고 갈 데도 많지만 국내서 벌여놓은 일이 많아서 떠나지를 못한다. 그는 꼭 유학이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길을 찾는다면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