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허 교수는 최근 허파꽈리 칩을 활용해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이는 단백질을 발견하는 데
성공
했다. 주인공은 바로 항암제 IL-2다. 이 항암제는 신장암이나 피부암에 효과가 있지만 부작용으로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 나타난다. 혈관 내 조직이 상하면서 혈액이나 혈청이 허파꽈리로 유입돼 폐에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막아놓았어요. 기존의 전자현미경을 약간만 개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성공
확률이 낮다는 게 단점입니다(어이, 투자자들! 그래도 멋진 장면 찍었으면 된 거 아닌가? ETEM은 비싸긴 하지만 확실하잖아!).이별 Scene#2 사랑에도 시련이마침내 인연의 끈이 연결됐으니! 우리의 주인공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학생들은 이미 평균에서 법대를 넘어섰다고 봐요. 더구나 공대를 나와서는 정말 크게
성공
할 가능성도 많잖아요. 10년 뒤를 보고 전공을 선택해 보세요.”신 교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과 참 격의없이 잘 지낸다. 어떤 학생을 연구실에 받고 싶냐고 물었더니 “당연히 똑똑하고 성실한 ... ...
성적표 사용 백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점수를 받아야 1등급 마지막 선에 있는 학생을 앞설 수 있다. 조건이 딱 맞아 떨어져야
성공
할 수 있다. 영어I 과목을 1등급으로 만들기 위해 무작정 노력하는 것은 무모하다. 이 경우 2등급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전략이다. ③ 지구과학I은 98점으로 1등급의 뒷부분이다. 중간고사 97점인 학생이 ... ...
스릴 만점! '나만의 롤러코스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빨리 달리게 하려면?섭섭박사 : 오오, 공이 회전 레일을 한 바퀴 돌았어! 재호야, 드디어
성공
했구나!재호 : 회전 레일의 지름이 작아질수록 공은 힘차게 도네요. 하지만 왜 그런 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박사님. 섭섭박사 : 롤러코스터를 탔더니 스트레스가 싹 날아갔어. 재호야, 고마워. 네가 멋진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근력이 발달해 있고 움직임이 느려 실험이 쉽기 때문이다.연구팀은 현재 거북이에서
성공
한 시스템을 그대로 물고기에 적용해 연구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3가지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첫번째가 자극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모양을 바꾸는 것. 거북이에 부착했던 장치는 크고 무거워도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남들보다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해 경쟁자들보다 조금 앞서가면 된다. 하지만 큰
성공
을 꿈꾼다면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창조하며 자신만의 블루오션을 만들어야 한다. 예전에 없던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 내는 것은 천재적인 재능이나 엄청난 운과 기회가 따라줘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 ...
Can a Program Become a Journalist?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분야인 것 같다”며 “거의 모든 회사들이 어떤 시점에서, 정말
성공
하려면 모든 것을 측정하고 모니터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한편 해몬드는 내러티브 사이언스사가 궁극적으로는 더 긴 형태의 뉴스 스토리를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어떤 저널리즘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거미줄의 배열구조에 착안한 과학자는 거미줄보다 6배 더 질긴 섬유를 개발하는 데
성공
한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거미줄의 배열 구조로 결합시켜 훨씬 강한 신소재를 만들어냈다. 방탄조끼에 사용하는 합성섬유 케블라보다 12배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크레이그 해리슨 상병은 영화가 아닌 현실에서 이보다 두 배 먼 2475m 거리의 저격에
성공
했다.군사적으로 저격은 ‘1km 이상의 먼 거리에서 하는 정밀한 사격’을 뜻한다. 컴퓨터 게임에서는 마우스 클릭(우클릭-좌클릭)만 하면 되지만, 실제 저격은 그렇지 않다. 한 번 총구를 떠난 탄환은 어떤 오차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