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오고, 이 파동방정식을 계산해 보면 전자기파의 속력이 빛의 속도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그 속도가 정지한 관찰자가 본 속도인지 혹은 움직이는 관찰자가 본 결과인지도 구분되지 않는다. 누가 보든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특수상대성이론의 해석이 맥스웰 방정식에 이미 존재했던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사라 마리 박사는 이 정수 사이의 규칙을 찾아 무한히 많은 종류의 토러스 매듭을 만드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털뭉치로 분류한 대칭 패턴특별 컨퍼런스의 공동 주최자인 캐롤린 야켈 교수는 사라 마리 박사와 함께 구로 나타낼 수 있는 대칭의 종류를 밝혔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모든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밝혔습니다. 임상시험은 4000명 이상 대상으로 두 달간 진행될 예정이며 결과는 2월에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에볼라 퇴치에 꼭 성공하길 기원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경험한 청소년 비율이 7.5%에 달했다.전자담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알려면 앞으로 10~20년 동안 추적 조사를 해야 한다. 그 전까지는 어떤 악영향을 줄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신교수는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는 대부분 중국 등지에서 수입되는 것으로, 제작 표준이나 안전 기준조차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새끼는 태어나면 바로 걸을 수 있는데, 이것을 ‘조성성’이라 해요.‘뱁새’라고 알려진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새끼들은 만성성이에요. 그래서 붉은머리오목눈이의 새끼들은 둥지에서 오랫동안 어미새가 물어다 주는 먹이를 먹지요. 그런데 어미새는 아무 새끼에게나 먹이를 주지는 않아요.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결과다. 그 결과 음식을 가장자리에 놓을수록 빠른 시간 안에 열이 골고루 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사실 전기 오븐은 탄생의 순간부터 지금까지 그 역할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그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수학자들에 의해 보완되고 있다. 앞으로 만나게 ...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사라진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➃ 도시에 사는 동물들이 쓰레기를 먹고 사는 이유를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생태계와 상호작용5. 수업 지도 순서도시에서 볼 수 있는 동물에 어떤 것이 있는지 질문하고 대답을 통해 수업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 기사 중 1~2개를 ...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류가 잘 흐르지 못했어요. 연구팀은 이러한 전기 저항의 변화를 측정해 진동의 세기를 알 수 있었답니다. 이번에 개발된 진동센서는 기존 것보다 감도가 최대 1000배 가량 높다고 해요.*nm : 나노미터. 100만 분의 1mm다.다재다능한 너희와 지구를 정복하고 싶구나!글쎄요, 닥터 그랜마. 나는 여러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황금의 털(golden hair)을 다시 찾기 위해서 말이다. 비록 엉뚱해 보이는 연구지만, 또 누가 알겠는가. 언젠가 진짜 새로운 거대생물을 찾아 금의환향할지. 자이언트팬더, 오카피, 마운틴고릴라, 코모도도마뱀도 100여 년 전까지는 모두 전설적인 괴생물체였다.그러나 여기에는 전제가 하나 있다. 어느 ...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하나가 대응을 이룬다.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A역에서 B역까지 어떻게 가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처럼 모듈라이 공간을 보면 얼마나 많은 곡선이 있는지, A곡선을 변형해 B곡선으로 어떻게 만들지 등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저는 모듈라이 공간을 단순한 수의 집합이 아닌, 대수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