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체는 완전한 원운동을 한다는 것이다(그림 8,9). 코페르니쿠스의 태양 중심체계그러나
천문
관측이 정밀해지면서 (그림 10,11)과 같이 화성이나 목성 또는 토성이 서에서 동으로 나아가다가(순행) 갑자기 서는가하면(유) 다시 동에서 서로 후퇴하는(역행)등의 운동을 설명하기가 어려워졌다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제의를 하고 있는 상태.일본은 우주과학연구소(ISAS)에 있는 10m짜리에 덧붙여 20m를, 국립
천문
대에 1백m짜리의 간섭계를 건설하는 6억엔 규모의 4년 계획을 91년 4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상태. ㎞급으로 부상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 관련자들의 의견이다.만약 LIGO를 비롯해 세계의 검출장치가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적경이 44분 작은 17시16분경이 될 것이다. 우리가 별을 제대로 보기 시작할 수 있는
천문
박명이 되는 시각은 태양이 진 후 약 1시간 30분이 지난 후.그러므로 관측회를 일찍 가서 미리 준비하고 있다면 서쪽하늘에서 적경이 약 19시인 별부터 볼 수 있다. 즉 여름철의 대삼각형을 이루는 것 중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체사진은 풍경이나 인물사진과는 달리 셔터만 누른다고 찍히는 것이 아니다.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기 위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자.해가 서산으로 저물고, 어두운 밤이 되면 맑은날 밤하늘에는 영롱하게 빛나는 천체들이 수줍은 듯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동안 수회에 걸쳐 천체망원경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관측적으로나 거의 이루어진 것이 없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는 실정이다.모든
천문
학 이론이 그렇지만 특히 블랙홀과 같이 고에너지에 관계되어 있는 천체에 관한 이론적 진전은 초대형 망원경이나 X선 관측위성 등에 의한 관측적 진전에 크게 의존한다. 이를 위해 일본의 경우 이미 네번째 X선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나타난다. 그래서 엿날에는 그 부분에 별이 없다고 생각하였는데 근래에 발달한 전파
천문
학 덕택으로 이 공간에는 매우 밀도가 큰 성운이 있어 그 뒤쪽에 있는 별빛을 가리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다. 바로 성간물질이 뒤의 별빛이나 산광성운의 빛을 차단한다는 것이 다.그래서 보이지 않는 이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친절히 황제께선 닭고기국을 드셔야될 것이라는 처방도 한다. 일설에 따르면 후에 이들
천문
관들은 초신성의 출현을 미리 예측못했다는 이유로 참수당했다고 한다.물론 초신성의 출현을 예측한다는 것은 현대과학으로 도저히 불가능하다. 단지 어느 별이 어느 시기 정도에 폭발할 것 같다는 식의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달라져야 한다는 사실까지를 몸소 체험하게 된다. 또한 이 장비들을 이용해 서강대
천문
반 학생들이 관측하고 기록한 스케치들도 전시하게 된다.■행사개요ㆍ일시:11월 22일 23일 양일간 늦은 4시부터 늦은 9시까지ㆍ장소:서강대학교대운동장ㆍ행사내용:천체 슬라이드 상영, 상현달 관측, ... ...
'93 노벨상 수상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중성미자와 같은 입자까지도 관측 수단으로 이용될 21세기의
천문
학은 과연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을지 상상만 해도 신나는 일이다.테일러와 헐스의 업적을 포함해 중력파와 관련된 내용은 '과학동아' 89년 11월호와 12월호에 자세히 게재돼 있다. 화학상/멀리스와 스미스DNA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별은 태어날 때부터 일생을 살아갈 수 있는 양식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 양식(물질)에 따라 정해진 경로를 밟아가는 것이 별의 일생이다. 요즘밤 자정 쯤 되면 오리온별자리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플람스티드의 성도에서 보면(그림1) 오리온 사냥꾼이 오른쪽 손에 칼을 높이 들고 있는 어깨에 붉은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