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8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단백질, 즉 식욕
억제
호르몬을 렙틴(leptin)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체를 암호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만들고 db유전자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현된다. 즉 식욕은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발견 - 김효수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 철 대사를 조절하여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
하는 항균제제 후보물질 발견 - 최현일 (전남대 의대), 최흥식 (전남대) ▽2014 일반뉴스 Top5 △ “대학원생 40% 이상, 폭언·차별 등 부당 대우 경험”… 대학원생 존엄·권리 대책 시급 △ 매년 확대되는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인위적으로 배양해 당뇨병 치료에 활용하려는 연구와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흥분 또는
억제
시키는 방식으로 기억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 등이 올해의 주요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나오는데, 이때 소량의 술을 마시면 다시 에탄올을 대사시키게 되므로 메탄올의 대사가
억제
돼 포름알데히드와 포름산이 덜 나온다는 것(시간이 지연될수록 메탄올이 그냥 배출되는 비율이 늘어난다). ●숙취가 심한 게 차라리 낫다? 저자는 술꾼답게 숙취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약물을 직접 ... ...
매일 타우린 30mg 먹었더니 치매가…
2014.12.14
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팀은 타우린이 뇌세포를 파괴하는 베타아밀로이드를
억제
하고 신경세포의 회복을 돕는 신경교세포를 활성화해 초기 치매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12일 밝혔다. 고령화 시대 대표적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60~8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 뇌 ... ...
남성 Y염색체 없애는 건 오직 담배 뿐
2014.12.08
Y염색체 일부가 사라지면 그만큼 암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Y염색체에는 암을
억제
하는 유전자 중 일부가 들어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라스 포스베리 박사는 “Y염색체가 없어진 세포는 종양을 감시하는 면역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며 “흡연 남성이 흡연 여성보다 암 발생률이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성장조절 RNA의 성숙을 방해하는 경우 줄기세포의 성장과 분화가
억제
된다(오른쪽). -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부작용이 없는 줄기세포 치료제나 새로운 항암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줄기세포는 모든 세포로 바뀔 수 있어 난치병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암 ... ...
유방암 백신 임상시험 효과 확인
2014.12.01
임상시험을 실시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는 현상과 암 진행이
억제
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유방암 환자 약 80%의 종양에서 공통적으로 ‘마마글로빈-A’라는 단백질이 과도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다른 조직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마마글로빈 ... ...
야생 박 게놈에서 항암 유전자 있다
2014.11.30
식물을 개량해 왔다. 하지만 최근 쿠쿠비타신이 암세포를 죽이거나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
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이 성분은 오히려 주목받고 있다. 최근 중국 농업과학원 연구팀은 야생 박의 게놈에서 쿠쿠비타신을 만드는 유전자그룹을 발견했다. 이들 유전자는 물질의 산화를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있다는 점이 문제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C 연구원 조절 유전자는 젖당이 있든 없든
억제
단백질을 만들기 때문에 RNA 중합 효소가 결합하는 게 맞다. 실제 상황에서 보기 ‘ㄱ’은 옳은 설명이지만 고교 과정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 서울 종합대 생명과학과 D 교수 고교 교과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