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타원을 따라 움직이는 물체에 타원의 초점을 향하는 구심력이 작용할 때 그 구심력의
크기
가 물체의 위치와 초점을 잇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내용이다. 이 법칙을 케플러의 제1법칙에 적용해 보자. 케플러에 따르면 행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따라 움직인다. 그렇다면 ... ...
반도체 기반 양자컴퓨터 현실화 한층 가까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짧은 거리지만 작은 전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먼 거리다. 연구팀은 “전자를 집 한 채
크기
로 비유했을 때두 집이 약 1200km 떨어진 것과 비슷한 원거리”라고 설명했다. 1200km는 서울에서 일본 도쿄까지의 거리보다 멀다. 이후 이 두 전자가 지닌 회전 양자역학 성질인 스핀 정보를 광자를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물층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그 충격으로 나노미터
크기
의 작은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물도 아니고 얼음도 아닌 ‘제3의 물체(a third body)’가 되면서 점도가 크게 높아진다는 것이다. 빙판 위에 놓인 하중이 클수록 점도가 더 ... ...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CERN은 최대 210억 유로(약 27조 원)를 들여 거대강입자가속기(LHC)보다 6배 더 강력하고
크기
가 100km에 달하는 장비를 마련할 계획이다. CERN에서는 우주의 빅뱅을 재현하는 실험으로 2012년 힉스 입자의 증거를 찾은 바 있다. 미국 페르미국립연구소는 내년 뮤온 g-2의 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
日정부, 돼지 이용 '사람 장기 만드는 실험' 승인
연합뉴스
l
2019.12.24
췌장과 돼지 [게티이미지뱅크, 연합뉴스 자료사진] 쥐와 달리 돼지는 장기
크기
가 사람에 가깝다. 이 때문에 인체에 이식할 수 있는 장기를 만드는 연구가 돼지를 대상으로 세계 각국에서 한층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승인한 연구계획에 따라 나가시마 ... ...
'실패했어도 칭찬해'…민간최초 달착륙 시도 올해를 달군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평가를 받는다. 비록 1차시도는 실패했지만 베레시트 미션은 근본적으로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도 기꺼이 실패를 받아들인다는 반응이다. 리스 펠로우는 “많은 국가들이 베레시트를 따라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우주 발사가 가능할 것”이라며 “베레시트는 ‘영웅적인’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제어하면 색깔이 바뀌는 독특한 광학적 특성을 보인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마이크로
크기
의 디스플레이나 홀로그램, 정밀측량, 의료기기 등 폭넓은 분야에서 광원으로 쓰일 수 있는 색깔과 편광이 서로 얽힌 새로운 소형 광원구조가 나왔다.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머리카락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발견됐다. 조사단은 이 구멍들은 성혈(星穴), 즉 별자리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구멍
크기
와 깊이가 제각각인 것은 별 밝기를 의미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단은 한국천문연구원과의 공동연구를 거쳐 서쪽에는 전갈자리, 남쪽에는 궁수자리를 새긴 것으로 파악했다. 동양에서는 각각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교수를 위해 마련됐다. 캐스피 교수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설치된 축구장
크기
의 ‘차임(CHIME)’ 전파망원경 연구를 주도해 올해 FRB를 수백 차례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FRB는 1000분의 1초간 강하게 우주상에서 분출되는 원인 불명의 전파다. 차임 망원경이 있기 전까지 FRB는 약 60차례 ... ...
[의학게시판] 경희대치과병원-북부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와 MOU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감염, 결막염 등의 합병증이 빈번히 발생했다. 반면 이번에 도입한 수술법은 절개창의
크기
를 기존의 절반 이하인 2.8~3.0mm로 줄여 난시 유발을 최소화하고 봉합사에 의한 합병증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 또 일부 인공수정체의 경우, 기존 백내장 수술시 사용했던 것을 안구 내의 정밀한 조작을 통해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