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8,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든 범인은‘ 세균’을 남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08
- 사람마다 손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범인을 잡을 수 있다는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진화생물학과 노아 피어러 교수는 컴퓨터 키보드에 묻은 세균과 컴퓨터 주인의 손에 사는 세균이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270명의 손과 키보 ...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수학동아 l201008
- 가능할까? 넓이가 서로 같다면 항상 다른 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어. 그 이유는 모든 다각형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야. 삼각형을 육각형으로 만든다고 가정해 볼게. 우선 삼각형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마찬가지로 육각형도 직사각형으로 만들지.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모양은 다를 수도 ...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수학동아 l201007
- 나비를 더 빛나게 한다. 대칭에는 여러 종류의 대칭이 있는데, 나비의 날개를 포함해 모든 곤충의 겉모습에서 보이는 것이 선대칭이다. 선대칭이란 어떤 직선으로 접을 때 양쪽이 완전히 겹쳐지는 성질을 말한다.사람도 좌우 대칭처럼 보이지만 정확히 보면 양쪽이 조금씩 다르다. 곤충은 사람보다 ... ...
- 법학과 수학의 교집합은 논리학수학동아 l201007
- 학문이 앞에서 말한 법논리학이에요. 수리논리학은 수학의 기초를 이루기 때문에 수학의 모든 분야에 이용된답니다. 특히 수학의 어떤 이론이 참임을 증명할 때 수리논리학을 이용하지요. 따라서 수리논리학을 잘 하면 수학도 법학도 잘할 수 있답니다.그러면 법논리학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 ...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007
- 나선팔과 막대는 어떻게 생긴 것일까. 나선팔을 이루는 별을 포함해 은하에 있는 모든 별은 은하의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데, 중심에서의 거리에 따라 회전 각속도가 다르다. 이 때문에 만일 나선팔을 구성하는 별들이 고정돼 있다면 나선팔이 몇 번 회전하고 나면 감겨 버리게 돼 그 모양을 유지할 수 ...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과학동아 l201007
- 일으키거나 불규칙하게 바뀔 때 불안정 연소가 일어난다”며 “연소 불안정은 거의 모든 엔진 개발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불안정 연소는 강한 진동을 로켓에 전달하기 때문에 로켓 자체나 민감한 제어장치, 탑재체인 인공위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는 ...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과학동아 l201007
- 것이 아니다”며 “여러 학문이 머리를 맞대고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을 때 모든 흐름을 읽는 논리가 탄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진화를 통하지 않고는 세상의 무엇도 설명할 수 없다”면서 통섭의 근간에도 진화론이 깔려 있다는 점에 대해 부인하지 않았다 ... ...
- 지구온난화, 엘니뇨에 영향 준다는 근거 없어과학동아 l201007
- “ENSO의 불확실성을 줄이려면 더 정교한 기후예측 모델과 분석 기술, 관측자료, 이론 등 모든 자료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07
- 어떤 의견을 제시했는지, 그 의견이 실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적는다. 그리고 모든 조원은 각각 자신이 맡은 역할을 수행하며 느낀 점을 앞의 사례처럼 적도록 한다. 자신이 실험 과정에서 무엇을 느꼈는지, 실험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어떤 실험을 ...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과학동아 l201007
- 수 있어야 한다. 재능보다는 ‘노력’ 글쓰기는 과학자를 포함해 이공계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기술이자 의무다. 이공계인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설가가 되려면 재능을 타고나야 하지만, 이공계 글쓰기는 연습을 통해 개선하고 습득할 수 있다.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