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3,745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
과학동아
l
199703
태양필터는 태양
열
때문에 쉽게 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망원경에 의해 모인 태양
열
이 그대로 필터에 집중이 되기 때문이다. 만일 관측 중 필터가 깨져 태양빛이 새어나오는 느낌을 받는다면 재빨리 눈을 떼어야 한다. 계속해서 보다가 태양빛이 직접 눈에 들어오게 되면 아주 위험해진다.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2
유럽에서는 현재 '미로 짓기'가 한창이다. 사무 건축물에서 아이들 놀이기구에 이르기까지 신화 속의 미로가 소리 없이 부활하고 있다. 미로의 정체는 암흑 ... 많은 흥미를 가진다. 미로는 한편으로 ‘복잡한 길을 따라가는 인생’을 상징한다. 아이들이
열
광하는 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02
방사광을 뽑아내는 통로인 빔라인을 지나는 방사광은 이중 일부이며 나머지는 전부
열
로 바뀌어 소멸된다. 빔라인을 지나는 방사광은 적외선에서 X선에 이르는 모든 파장이 섞인 빛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단색분광기를 이용해 원하는 특정한 파장의 빛을 골라내 연구하고자 하는 시료에 도달하게 ... ...
Ⅱ.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은 전자의 본질
과학동아
l
199702
물질 내부에 있는 대부분의 전자는 전자기력에 의해 원자에 구속돼 있다. 하지만
열
을 받거나, 외부에서 충분한 에너지의 광자 또는 다른 입자들이 입사돼 반응하면 원자밖으로 떨어져 나와 자유전자가 된다. 이들 자유전자들이 전기장에 의해 한 방향으로 움직이면 비로소 전류가 흐른다.어떤 ... ...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02
때 잠기지 않도록 쉼없이 잡았다 놨다 하는 펌핑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마치 사람이
열
심히 발로 브레이크를 밟았다 놓았다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사람이 하는 것과 같은 빠르기로 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 ABS는 1초에 무려 10여차례 이러한 동작을 되풀이하기 때문이다.ABS는 각 바퀴당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02
1백50cm 키의 그는 이제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진 피부를 통해 빼앗기는 엄청난
열
손실을 감당해야만 한다. 불행히도 그는 체온을 항상 37℃로 유지해야만 하는 인간인 것이다. 만약 약간의 과학적인 그럴듯함을 영화에 삽입한다면, ‘애들이 6mm로 줄었어요’에 등장하는 어린 주인공 4명은 ... ...
2. 음식 속에 숨은 영양소 어떻게 알아내나
과학동아
l
199702
과당은 5각형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다.탄수화물 1g이 우리 몸에서 분해되면 약 4kcal의
열
을 낸다. 이 에너지는 사용하고 남으면 간으로 가서 글리코겐으로 저장된다. 하루에 필요한 에너지는 약 2천kcal인데, 이를 얻으려면 약 5백g의 글루코오스를 먹어야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설탕의 섭취량이 191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4. 정보전자의 시대
과학동아
l
199702
음식이나 물에는 잘 흡수된다. 물이나 음식이 데워지는 까닭은 전자파가 흡수되면서
열
로 변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구분이 애매하다면 트랜지스터나 반도체와 같은 부품이 들어있는 것은 전자제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들은 모두 전자를 미시적인 차원에서 이용하기 때문이다.그러나 요즘 ... ...
인류학적으로 접근한 혼외정사
과학동아
l
199702
실태를 조사한 결과 10%가량의 어린애가 친부가 아닌 사내에 의해 태어났음을 밝혀냈다.
열
명의 남편 중 하나는 남의 자식을 키우면서도 자신의 핏줄이라고 속고 있는 셈이다. 같은 항도인 함부르크나 싱가포르에서 똑같은 조사를 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지. 아무튼 일부일처제가 인류에게 ... ...
1.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02
흔히 차가운 물이 먼저 얼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겨울철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것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왜 그럴까.남은 방학 동안 아침 ... 현상을 더 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셨다. 이번 탐구를 통해 물이 증발할 때 아주 많은
열
이 주위로부터 빼앗긴다는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