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제"(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머물면서 농가에 있는 오리와 닭에 바이러스를 옮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철새 보호 국제기구는 철새는 AI의 원인이 아니라 희생자라며, 철새가 닭이나 오리 같은 가금류로부터 옮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의견이 나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주장 1 철새가 옮겼다?근거 1 ... ...
- [시사] 생생포착! 위기의 야생동물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아쉽게도 이런 생생한 야생의 모습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현재 국제자연보호연합(IUCN)은 야생동물들의 절멸을 막고자 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의 명단을 만들어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레드 리스트’라고 부르는 이 발표자료에 의하면 작년 기준으로 71, ... ...
- 캡틴 아메리카, 준결정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정의를 바꾸다!셰흐트만 교수가 준결정을 발견하고 이것이 실험적, 수학적으로 입증되자 국제결정학연합회는 1992년 결정의 정의를 바꾸기로 한다. 기존 정의는 ‘결정은 구성하는 원자, 분자, 또는 이온들이 일정하게 정렬되고 삼차원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를 가진 물질’이었다.하지만 이제 ... ...
- 별에서 온 ‘귀하신’ 운석이, 한국의 독자에게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불리는 운석이에요. 운석이 외계 천체에서 날아온 돌조각이라는 것은 알죠? 국제운석및행성학회가 운영하는 운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등록된 운석은 4만8844개(3월 19일 기준)예요. 이 가운데 달과 화성에서 온 것으로 밝혀진 200여 개를 제외하면 다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한 소행성들이 ... ...
- INTRO. HOMO SAURUS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한반도는 어떤 모습이었을지 그려봤다. 3파트는 진짜로 공룡을 만나는 곳, ‘한국-몽골 국제공룡탐사’ 현장의 이야기를 담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주축으로 2006년부터 매년 여름 40여 일씩 5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한국이 주관하는 최초의 국제공룡탐사이기도 하다. 발굴한 모든 화석들을 화성시 공룡알 화석지 방문자센터의 실험실에서 처리 작업하고 있다. 이번 탐사를 지원해준 화성시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내다봤다.그는 건식 재처리 방식, 즉 파이로프로세싱도 상용화까지 오래 걸리고 국제 기준으로는 재처리의 범주에 포함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수용이 어려울 것이므로, 한미원자력협정 협상에서도 보다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이 핵비확산을 기치로 재처리를 하지 않고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철새도 죽일만큼 고병원성”이라는 뭉뚱그린 해석이 나왔다.여전히 이상한 점이 보인다. 국제수역사무국에서 발표한 AI의 잠복기는 닭을 기준으로 보통 3~14일, 최대 21일을 넘지 않는다. 게다가 고병원성 AI는 치사율이 75%에 이른다. 시베리아에서 출발한 가창오리가 우리나라에 도착한 시점은 작년 1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 가장 따뜻한 곳에서 펼치는 겨울올림픽!소치는 흑해 해안을 따라 145㎞ 정도 뻗어 있는 아름다운 자연 도시예요. 지금까지 동계올림픽이 열린 장소 중에서 가장 따뜻하고 고도도 낮답니다. 1~2월 평균 기온이 7~8℃(서울 평균 -2℃)라니 얼마나 따뜻한지 알겠죠?소치는 위도가 43°로 37°인 서울보 ...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지점에 대부분의 쓰레기가 집중된 ‘본진’이 위치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태평양연구센터(IPRC)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바다쓰레기는 1~2년 안에 미국 서부해안에 가장 근접했다가 2018년쯤 되면해류를 타고 다시 멀어지기 시작한다. 혹시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우리나라까지 접근하지는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