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지금 보다 더 밝게 빛났고 북극성 역할을 했다. 지금 남아있는 당시의 피라미드에는
내부
에서 이 별을 관찰할 수 있는 통로가 발견된다고 한다. 지난 1996년 3월 하순 초저녁에 대혜성 햐쿠다케가 투반 바로 옆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워져 밝고 긴 꼬리를 보여주었던 대사건의 중심지이기도 하다.황도에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길이는 1이다.1조각,2조각.3조각,4조각,5조각,7조각2. 7조각으로 만든 정사각형의 둘레와
내부
에 그어진 모든 선분 길이의 합을 구하시오.3. 6조각의 정사각형이 없는 이유를 생각하여 쓰시오.(Hint : 각각의 조각의 넓이를 구하여라.)정답1. 정사각형 중 가장 짧은 선분이 1이므로 ⑤의 넓이는 1이다.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있다. 이것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승무원들이 우주공간에서 활동할 때 우주복
내부
의 온도가 올라가면 물이 튜브 속을 흘러가면서 냉각된다. 사람의 몸에서는 엄청난 열이 발생하므로 냉각수는 우주복에서 꼭 필요한 존재다. 그 옷 위에는 가벼운 나일론 직물로 된 송풍관이 장착된 층이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자궁근의 길이는 점차 짧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자궁상부의 두께는 점차 두꺼워져서 그
내부
용적은 감소하게 되어 태아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궁하부의 근육은 계속 엷어지고 확장되면서 경관이 열리는 것이다. 그러나 자궁하부의 근섬유가 완전히 이완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와류라고 부르는 불안정한 유체의 흐름이 생긴다. 이것은 일종의 저항력을 만든다. 와류
내부
의 유체의 속도는 정상 상태의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유체의 압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앞부분의 압력이 뒷부분에서보다 커져 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를 끌림힘이라고 부른다.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지름이 2백25km나 되 서울과 경기도 전체가 다 들어가고도 남을 만큼 거대하다.
내부
에도 상당한 크기의 크레이터가 여러개가 보인다. 티코는 지름 85km로 그리 크지 않지만, 1억년 전 충돌 때 만들어진 거대한 광조(빛줄기 무늬)의 중심지로 유명하다.■ 월령 11-12일달은 작은 망원경으로 보기에도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가득 찬 상태로 밀폐된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내려가면 수증기는 다시 물로 변해 병
내부
의 압력이 낮아진다. 눈으로 보기에는 병이 손바닥에 달라붙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기압에 의해 눌려 있는 것이다.2.신문에서 피는 꽃접은 신문지를 물에 담그면 신문지가 펼쳐지면서 안에 숨겨져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부르게 되었다. 풀러가 오일러의 정리에 따라 처음으로 디자인했던 측지돔은
내부
에 기둥이 하나도 없으면서도 매우 단단한 특성을 가진 초대형 공 모양의 건축물로 몬트리올 엑스포에서 처음으로 그 모습을 선보여 찬사를 받았고, 대전 엑스포에서도 전시관으로 이용됐다. 자연이 대칭을 좋아하는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1. 물위에 물 쌓기2농도가 진한 설탕물을 가득 채운 컵 위에 색소 탄 물을 가득 담은 컵을 뒤집어 올려놓으면 서로 섞이지 않고 경계를 이 ... 장갑을 잡아당기면
내부
공기의 부피가 늘어나면서 공기의 압력은 낮아진다.따라서 병
내부
보다 압력이 높은 바깥쪽으로 고무 장갑을 빼내기 어렵다 ... ...
사람 X선 촬영에 성공한 뢴트겐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대해 주목한 집단은 바로 의사들이었다. 이 사진 덕택으로 X선을 통해 사람의 몸
내부
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감을 잡은 것이다.하지만 사실 X선 발견은 ‘20세기 물리학의 새로운 혁명의 출발점’이라고 할만큼 중요한 사건이었다. 뢴트겐의 발견에 자극돼 프랑스의 베크텔은 우라늄에서 최초로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