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생성나무는 그래프와 관련된 수학 개념으로, 어떤 그래프가 있을 때 그래프 위의 모든 점, 그리고 몇 개의 변만 색칠해 새로 만든 그래프를 뜻해요. 단 새로 만든 그래프는 반드시 순환 고리가 없어야 하고 색칠한 변으로 연결돼 있어야 해요. 즉, 한 점에서 출발해 어떤 경로를 택해서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화나 실시간 채팅은 금지시켰고, e메일과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만 이용하게 했다. 또 모든 메시지는 실제로 지구~화성 간 데이터 전송에 걸리는 시간인 20분만큼 지연시켰다. 유인 화성 탐사에서는 우주인의 심리적, 정서적인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현재 탐사선 기술로는 지구에서 화성까지 가는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다중신호 천문학이 실제로 동작하고 있다는 설렘과 흥분을 모든 연구자들이 공유한 극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라이고 과학협력단이 수 년 전부터 다중신호 천문학의 관측 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전 세계의 천문대, 위성 프로젝트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온 데에 따른 쾌거였다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상을 지각하지도,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로부터 내빼지도 않는다. 복제자는 이 모든 일을 하는 운반자를 만든다.”(번역서 410~411쪽) 복잡한 적응은 유전자의 이득을 위해 진화한다는 ‘유전자의 눈 관점(gene’s-eye view)’은 윌리엄스의 ‘적응과 자연 선택’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지만,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비용 찾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하지만 이 방법은 n개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의 모든 경우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외판원 문제가 이론적으로 ‘NP-완전’이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최소 비용으로 여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이 존재하지 않을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주변의 좁은 영역을 살펴보면 쌍곡 평면 위의 한 점에서 본 주변 공간과 똑같습니다. 모든 점에서 쌍곡 평면처럼 생긴 곡면이 쌍곡 곡면입니다(쌍곡 평면은 8월호 기사 ‘나 혼자 산다’를 참고하세요). 즉, 유한하고 경계가 없으며 양면이 있는 곡면은 모두 구멍이 없는 도넛과 구멍이 한 개인 도넛,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푸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이는 n개 도시와 각 도시 사이 거리가 정해졌을 때 모든 도시를 한 번씩만 통과해 출발지로 돌아오는 가장 좋은 경로를 찾는 수학 문제다. 도시를 탑승 장소로 바꾸면 셔틀버스 문제가 된다. 학원이 탑승 장소를 입력하면 알고리즘은 가장 좋은 길을 알려준다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농도가 증가했다. 최 교수는 “벤조산은 다른 화장품을 통해서도 노출될 수 있지만, 모든 참가자에게서 공통적으로 마뇨산 농도가 제품 사용 전에 비해 사용 뒤 최소 40%에서 최대 180%까지 증가했다”며 “이는 여성청결제에서 벤조산 성분이 체내에 일부 유입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저였습니다. 저의 원본, 갈 곳을 잃은 저의 영혼, 제가 여태껏 믿고 살아온 제 인생의 모든 것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 그는 죽은 저의 영혼이었습니다. 김은경 선생님, 이제 제가 선생님께 부탁드리려는 게 무엇인지 확실히 짐작하셨으리라 믿습니다. 고고심령학이었던가요? 솔직히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N이 0과 1 사이에 있는 모든 실수의 개수다. 결론적으로 칸토어 집합의 원소,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 실수 전체는 모두 개수가 2N으로 같다. 칸토어 집합은 여전히 실수만큼 많은 원소를 갖고 있고, 원소가 제 아무리 띄엄띄엄 있다고 해도 결국 셀 수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