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 프로젝트가 있어요. 2007년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대학교의 알렉산드로 산체스 연구원이 시작했지요. 그는 2015년 이 데이터를 이용해 스페인의 빛 공해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답니다. 시민들이 직접 스마트폰으로 밤하늘을 관측해 빛 공해를 측정할 수도 있어요. ‘글로브 앳 나이트(Globe at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가 문제!햇빛이 아닌 인공적인 빛을 이용해 주위를 밝게 비추는 것을 ‘조명’이라고 해요. 아주 오랜 옛날, 인간이 불을 사용하던 때부터 조명의 역사가 시작됐어요. 이후 동물과 식물에서 얻은 기름으로 양초와 램프 등을 만들어 밤을 밝혔지요. 들은 더 밝고 안전한 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조사하는 것은 물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도 활용될 수 있지요.” 김명건 연구원의 설명이 끝나고, 친구들은 여러 대의 드론이 군집비행을 하는 영상을 봤어요. 여러 대의 드론이 열을맞춰 움직이는 장면을 보고, 친구들은 감탄했답니다. 연구실 탐방을 마친 강민재 친구는 “평소에 보지 ... ...
-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안녕, 난 거리를 헤매는 음료수 캔이야! 밤마다 하늘에 반짝이는 별이 된 내 모습을 꿈꾸지. 다 쓰고 버려진 캔이 어떻게 별이 될 수 있냐고? 놀라지 마. 큐브샛이 되어 우주로 날아가면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일 수 있다는 얘길 들었어. 내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오~, 내 몸만 한 큐브샛이 지구를 관측하고 우주 실험실도 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해. 하지만 지구 전체를 관측하기엔 너무 작은 것 같아.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좋은 다목적 위성을 운영하고 있는데, 굳이 작은 큐브샛을 쓰는 이유는 뭘까? 50대가 넓은 지역을 동시에!일반적으로 다목적 위성은 지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은 지난 2003년 처음 발사된 이후, 더 자주 더 많이 발사되고 있어요. 최영준 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사는 “현재 선진국을 중심으로 큐브샛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는 만큼 앞으로 우주로 나가는 큐브샛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우주쓰레기의 궤도를 낮춰라 ... ...
- [가상인터뷰] 겨울에 작아졌다가 봄에 다시 자라는 동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우리처럼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몸집이 작아 겨울잠을 잘 수 없거든요. 라자르 연구원은 “우리의 생각보다 이런 전략을 쓰는 동물들이 더 많을 수도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알록달록 물들기 시작하는 가을 산에서 유독 흰색 바탕에 붉은빛을 띠는 꽃이 있어요. 작은 꽃 수십 개가 뭉치를 이루고 있어 별이 내려앉은 듯 보이기도 하지요. 그 주인공은 바로 ‘꿩의비름’이에요. 꿩이 사는 산지나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는 뜻에서 이름에 ‘꿩’이란 단어가 붙었지요. 8~10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제 나도 큐브샛이 되어 하늘의 별이 되고 말 거야.그런데 지금까지 본 큐브샛은 나와 생김새가 많이 달라. 과연 음료수 캔인 나도 인공위성이 될 수 있을까? 음료수 캔으로 만드는 인공위성, 캔샛캔으로 만든 큐브샛도 있어요. 음료수 캔(Can)으로 위성(Satellite)을 만들었다고 해서 두 단어를 합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태어났어요. 원래 법학을 공부했지만 천문학에 더 흥미를 느끼고 1919년 윌슨산천문대의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지요. 당시 과학자들은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허블이 안드로메다성운을 관측해 거리를 추정한 결과, 지구에서 약 90만 광년(현재의 계산으로 220만 광년)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