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응답하라, 1996! 20년간 사랑받은 명품 게임 바람의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그 전에 만들었던 게임에서 아쉬웠던 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게임을 개발해 왔습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게임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다르게 해보자 하는 식이지요. 만화나 영화, 책 등에서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합니다. 잠재의식 속에서 무심코 툭 튀어나오기 때문에, 여러 매체를 접하고 다양한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정한 거리를 몇 번씩 걸어본 다음 평균을 구하는 방법을 씁니다. 예를 들어 100m를 평균 154걸음 안에 걸었을 경우 평균 보폭은 100m÷154=0.65m, 즉 65cm가 됩니다.지삿개 주상절리를 나와 씨에스 호텔로 가던 중 일정 구간의 거리를 재봤습니다. 먼저 100cm 줄자를 바닥에 붙여놓고 줄자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설이 옳다고 결론 내린다. 이 때 그 어떤 값(문턱값)으로는 0.05 또는 0.01을 사용한다.예를 들어보자. 어떤 두 사람이 동전 던지기 내기를 하는데, 그 중 한 사람(A)이 “동전이 공평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가설 유의성검증 방식에 따라 이 가설을 검증하려면 우선 영가설을 세워야 한다. 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변화’가 곧 시간이라는 것이다. 이를 ‘창발하는 (emergent)’ 시간이라고 부른다.예를 들어, 페이스북에 5000만 전 국민이 가입했다고 치자. 더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사람이 없다면, 밖에서 봤을 때 페이스북은 정지한 시스템인 것처럼 보인다. 페이스북이라는 세상에 시간이 흐르지 않는 것이다.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것이다). 주변 기체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플라스마의 색깔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다이 기사들이 사용하는 녹색 광선검은 염소, 전편의 악당 시스가 쓰는 붉은색 광선검은 헬륨 플라스마를 사용하면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엔지니어링Part 1. ‘제4의 상태’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노토수쿠스류는 다른 동물이 사라진 틈을 타 그 역할을 대신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마다가스카르의 후기 백악기 마에바라노층에서 발견된 시모수쿠스다.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올해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내년에 시범 운영을 거쳐 2018년부터 널리 확산시킬 예정이다. 김 이사장은 ‘만드는’ 활동을 중시한다. 그래서 메이커 활동을 자주 강조한다. 메이커 활동은 도구나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창의적 만들기 활동이다. 교육, 특히 과학교육과 접목될 경우 다양한 아이디어를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胎芽)’로 변하기 직전까지를 의미하지요. 사람의 경우 임신 8주 정도까지가 배아 상태예요.배아의 ‘배(胚)’는 ‘육달월(月)’의 뜻과 ‘클 비(丕)’의 음이 합쳐진 한자로 임신을 뜻해요. 그리고 ‘아(芽)’는 ‘풀 초(艸)’와 ‘어금니, 송곳니 아(牙)’가 합쳐져 마치 송곳니처럼 뾰족하게 나오는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시작했다. “이게 무슨 작업입니까?” 경찰의 물음에 국과수 직원은 “대응점을 찍는 거예요”라며 이 대응점을 기준으로 3D 사진이 2D 사진 위에 겹쳐질 거라고 말했다. 설명을 듣고 나니, 이제야 이 사람들이 무엇을 하려는지 감이 온다. “자~, 합칩니다.”나의 3D 사진은 CCTV 속 마스크를 쓰고 있는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의존증은 대뇌보상회로와 충동조절회로의 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예를 들어, 중독 물질이 들어와 보상회로에 작용하면 즐거움이 생기고 ‘긍정적 재강화’를 일으켜 계속 중독물질을 찾게 한다는 거지. 알코올은 긍정적 재강화 물질이야. 주로 뇌의 복측피개지역의 도파민 활성을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