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정"(으)로 총 3,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10행성설, 카이파벨트의 실체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이며 태양으로부터 약 41AU(1AU는 지구-태양 거리, 약 1억5천만km) 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추정 지름은 2백-2백50km, 밝기는 24등급이었다. 그러나 이 행성은 10행성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나 작다. 카이파벨트의 한 멤버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1993년 봄에는 두번째의 카이파벨트 후보인 1993FW가 ... ...
- 태양계 밖 외계 행성 첫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행성에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행성에는 생명체가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행성계의 태양격인 펄사가 생명체의 유해한 전자파(X선 등)를 내뿜고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번 행성의 발견으로 많은 별들에는 행성이 존재한다는 가설이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나 앞으로 ... ...
- 톱쿼크 발견 임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밝혀졌다.b쿼크의 발견 당시는 이로부터 t쿼크의 질량을 추산, 약 1백50억eV가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상은 빗나가 t쿼크는 최근까지 발견되지 못하고, b쿼크가 발견된 이래 지난 17년 동안 수많은 실험이 이루어졌다. t쿼크 질량의 하한선이 발표돼 금년초 t쿼크가 존재한다면 그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암모니아 구름층 밑에는 암모니아황수화물(${NH}_{4}$SH)로 된 또다른 구름층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보다 더 아래로 내려가 약 10기압 고도에서는 물(${H}_{2}$O) 구름이 존재한다. 이곳은 영상 약20℃의 온도로서, 잠수부가 편히 활동하는 바다밑과 흡사하다 하겠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어떤 ...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3회에서는 한국인 얼굴의 지역차를 확인해 봄으로써 그 지역차의 특성이 각 지역인의 추정 유입경로와 무관하지 않음을 알았고, 생물학적으로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일본인과의 친연(親緣) 정도도 알아 볼 수 있었다. 일본인은 현재의 남한인보다 북방계 요소와 남방계 요소를 더 강하게 띠고 있어 ... ...
- 지구과학 - 지구자기장, 대륙이동설 밝혔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일정한 방향을 가리킨다. 이것은 지구가 자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침의 방향을 추정해보면 지구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그림1)과 같이 형성돼 있다. 이것은 마치 지구 내부에 지구 자전축에 대해 11.5°만큼 그린란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거대한 막대 자석이 들어 있는 것처럼 형성돼 있다 ...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DNA의 돌연변이 속도를 계산해 '이브'는 약 20만년 전쯤에 나타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결국 현생인류는 아프리카의 한 여인에서부터 약 20만년 전에 시작돼 세계 각지로 퍼져 나가게 됐다는 학설이다.동일한 방법으로 미국의 월레스교수는 동남아시아가 기원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으나 ... ...
- 2. 두 발로 서고 석기 쓰며 사람형태로과학동아 l1994년 05호
- 그 크기에서 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종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들과 루시로 대표되는 아파렌시스가 인류의 공통조상이고 여기에서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들이 진화한 것으로 주장한 루시의 발견자들(버클리소재 캘리포니아대학 인류기원연구소의 도날드 조핸슨과 ...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과학동아 l1994년 05호
- 개발된 것으로 아마도 미국이 설계한 MGM-31B 피싱2시스템이 채택한 것과 같았을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서방측은 러시아가 개발중인 스커드D의 사정거리는 약3백㎞로 스커드B와 같다고 보고 있다.사정거리를 대폭 늘린 개량형일수록 탄도 무게를 가볍게 해 화력이 떨어지며 정확도 또한 떨어진다. ... ...
- 화학 - 고압기체,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속도를 빠르게 해 높은 온도의 불꽃을 얻었다.인류가 불을 사용한 것은 원시시대부터로 추정된다. 그러나 당시에는 난방이나 음식물을 익혀 먹는데 대한 필요가 고작이었으므로 그다지 높은 온도의 불꽃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러나 청동기시대를 거쳐 철기시대로 접어들어 광물로부터 금속을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