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11
때문이다.하지만 길이와 모양이 달라진 도형도 같은 것이라 여기는 학문도 있다. 그것이
바로
‘위상기하학’이다. 위상기하학에서는 모양이 아무리 변형돼도 그 도형의 본질적인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면 모두 같은 도형이라 여긴다. 다시 말해 변형된 고무줄(B)에서 직선이 곡선이 되고, 길이가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
수학동아
l
201111
계산한 합을 11로 나눠 나머지를 구한다. 그런 다음 11에서 이 나머지를 빼면 그 수가
바로
마지막 13번째 체크숫자가 된다. 이 값이 10일 때는 0, 11일 때는 1이 체크숫자다.예를 들어 123456-789012□라는 주민등록번호가 있다고 생각해보자(실제 이런 주민등록번호는 없다). 먼저 각 자리마다 순서대로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11
많은 학생들이 두려워하는‘도형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호에서는‘도형의 성질’ 단원을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서울 반포중학교 임윤영 선생님을 찾아가‘도형 공포증’에 시달리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 처방전을 받아왔습니다. 특별히 오늘은 ‘평면도형’에 대해서만 집중해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10
슈터 등)에서 메달을 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이 곡선의 가장 돋보이는 특징이라면
바로
곡선이 좌우 대칭이라는 것이다. 앵그리 버드 게임을 할 때도 이 특징을 기억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새가 날아가는 경로를 상상하며 포물선의 꼭짓점과 대칭축을 그려본다면 명중시킬 확률은 ... ...
뿔의 부피는 진짜 기둥 부피의 1/3인가요?
수학동아
l
201110
있는냐죠.
바로
뿔의 부피가 기둥 부피의 1/3임을 묻는 문제가 됩니다. 이 문제는
바로
그해에 풀렸습니다. 가능하지 않다고 말이지요.이처럼 뿔과 기둥의 부피 관계는 무한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적분에 의해서만 증명할 수 있답니다. 적분을 모르는 중학교에서는 이런 이유로 실험으로 배웁니다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10
혹평하기까지 했다.반면 얽힘이 양자론을 정의하는 특징이라고 두둔한 사람도 있다.
바로
슈뢰딩거다. 1930년대에 아인슈타인과 슈뢰딩거는 얽힘 현상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하지만 당시 슈뢰딩거도 얽힘이란 기묘한 개념을 썩 마음에 들어 하진 않았다고 한다. 어떤 것도 빛보다 빨리 전달될 수 ... ...
Part 1. 기다림의 과학, 재활
과학동아
l
201110
않은 것도 속설에 한 몫 한다. 의학적으로 수술이 성공했다고 해서 과거의 기량을
바로
되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긴 재활 과정에서 많은 선수들이 좌절하고 선수 생활을 포기하거나, 다시 부상을 입지만 이런 사실들은 잘 알려지지 않고, 기억에서 쉽게 사라진다.결국 토미존 수술은 구속을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10
한다. 과거 스콜이 항상 있었다. 수평선을 보면 하늘과 땅이 이어진 곳이 있다. 그곳이
바로
스콜이 내리는 곳이다. 스콜은 열대의 더위를 잠시식힌다. 이 스콜이 줄고 있는 대신 우기가 생겨 지난 8월 한국 곳곳에 내린 비처럼 며칠간 계속 내린다. 15년간 이곳에서 지낸 김도헌 과장은 “원래는 없던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10
작동해 오랜 시간이 걸리는 선회 없이 적기를 따라잡는다. 적기에 근접한 미사일은
바로
맞추거나 근접신관이 터지며 파편과 폭풍으로 적기를 공격한다. 이때 파편의 속도와 수에 따라 적기에 입히는 피해 정도가 다르다. 그렇지만 파편의 수와 속도를 마냥 높일 수만은 없다. 탄두의 무게가 크면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10
”백 교수는 감정 표현도 잘 하고 빠르다. 한번 방향이 서면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바로바로
답이 떠오른다고 한다. 반면 김 교수는 무겁고 길게 본다. 어떤 상황에서도 느긋하고 서두르지 않는다. 두 사람의 그런 성격이 서로를 보완하면서 최고의 파트너가 됐다. 그리고 함께 꿈을 꾸게 했다.“작은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