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7,75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10
영역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 문항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면접을 준비하기
위
해서는 지원 계열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또 자료 분석 및 이해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읽기자료를 지속적으로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어 면접은 짧은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다닌다는 사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
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신호음은 멀리서 안부를 전해 온 바다거북 은북이의 메시지! 임무 완료! ▲ 지난 해 10월 5일에 바다로 가는 은북이의 모습 ... ...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양력연구실로 양력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입으로 바람을 불어서 비행기 날개를
위
로 띄우고 있답니다. 후우~!이 물체를 어떻게 공중에 띄우지?양력을 이용하면 되지! 날아라, 내 친구 부머랭~!부머랭을 직접 만들어 날려 봤어요! 부머랭도 양력을 이용해 난답니다. 날개를 안쪽으로 더 많이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10
교차하는 두 도로를 연결하기
위
해 경사지게 만든 부분을 램프라고 한다. 경사를 줄이기
위
해 대부분의 램프는 회전 반지름이 큰곡선 모양으로 만든다. 동서남북에 각각 하나씩 램프를 설치한 곳은 전체 모양이 클로버잎을 닮았다고 해서 클로버형 입체교차로라고도 한다.도시에는 크게 돌아가는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10
나온 것조차 먹지 않고 꼬깃꼬깃 싸서 들고 온 누나의 인절미가 누나의 마른 어깨
위
로 툭툭 떨어지고 있었다. 노란 통고물가루가 푸슬푸슬 흩어지고 있었다.누나는 삼일 밤낮을 앓다가 눈을 감았다. 약 한 첩 써보지도 못했고, 어디다가 하소연 한번할 수 없었다.“양반네 말이었다며? 관아에 알려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10
장 드 댕트빌이고 오른쪽 인물은 프랑스의 왕 프랑수아 1세의 비밀 임무를 수행하기
위
해 영국으로 간 조르주 그 셀브 주교다. 두 사람 사이 아랫부분에는 정체 모를 것이 그려져 있는데 왜상이라는 미술기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왜상(anamorphosis)은 일반적인 시각에서 보면 대상이 뒤틀려 보여 ... ...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09
대표적인 예가 이혼율이야. 2009년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이혼율은 OECD가입국 중 1
위
야. 그런데 여기에 문화적 차이가 빠져 있어. 외국은 동거 문화가 익숙해 혼인신고를 미루고 동거를 하는 사람이 많은 반면, 우리나라는 결혼 문화여서 대부분 혼인신고를 한다는 것이지. 그러다보니 외국은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09
모양이기 때문에 물이 비늘에 맺히지 않고 빨리 떨어져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주
위
를 잘 살펴보자. 숨어 있는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션◎생활 속에서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찾아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신나는 토요일 밤, 저녁을 먹고 아빠와 함께 집 근처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슈퍼컴퓨터 톱500’에 올랐다. 2010년 봄 ‘톱10’ 안에는 GPU 탑재 컴퓨터가 각각 2
위
와 7
위
에 올랐다.GPU의 특이한 병렬 구조는 CPU 대비 수십~수백 배의 성능을 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GPU 구조를 극대로 활용한 프로그램에 한한 결과라서 모든 프로그램을 GPU에서 수행하기는 어렵다. 또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09
이토록 흡사할까요? 이런 걸 ‘수렴진화’라고 한다네요. 다른 종이라도 비슷한 환경(
위
치)에 적응해 진화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비슷해진다는 거죠. 지금은 멸종한 테즈메니아 늑대가 수렴진화의 대표적인 예로, 생긴 건 늑대지만 사실은 캥거루처럼 유대류 동물이죠. 씨앗의 다양성은 크기를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