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기다려야 하니까.” 보이지 않는 몸 속 변화그래도 몇 가지 당부와 지적이 끝나자, 다음부터는 편안한 대화가 이어졌다. 나는 궁금했던 몸의 변화에 대해 물어봤다.“우주에 가면 체액이 몰려 얼굴이 붓는다는 건 들었지? 근데 얼굴만이 아니네. 체류기간에 비례해서 폐의 크기나 기능도 떨어지지. ...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어. 방마다 주인이 있는데, 누가 어떤 방에 들어갈지 일정한 규칙이 있지. 그렇다면 다음 중 비어 있는 두 방에 들어 갈 양은 누구누구일까?”미션3 세 번째 문제, 뚱뚱이 양 떼 줄 세우기늑대가 또 쉽게 맞히자 공포에 빠진 양들은 땅이 울릴 정도로 몸을 떨기 시작했다.“조…, 좋아. 이제는 어려운 ...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스즈키 이치로다.2004년 최다안타 기록을 세운 이치로의 타격 성적을 자세히 살펴보자(다음페이지 위쪽). 그래프 속 지표 모두 타자의 실력을 설명하는 지표다. 재밌는 점은 각 기록에서 이치로의 순위가 극과 극이라는 점이다. 타율은 1위지만 장타율은 리그 87위다. 덕분에 메이저리그 팬 사이트는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핵분열 후 초속 10만km가 넘는 속도로 튀어나오는데,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쇄적으로 다음 반응을 일으키는 게 중요합니다. 만약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면 물속 수소와 중성자가 부딪히게 되는데요. 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 수소 같은 가벼운 원소와 중성자가 부딪히면 중성자의 속도가 확 떨어지게 ... ...
- 웰컴 투 얼음왕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모두 얼음이야. 이 주변에 있는 강물이 꽁꽁 얼어붙으면 얼음을 네모반듯하게 잘라 꺼낸 다음, 벽돌처럼 쌓아서 건물을 짓지. 건물을 짓는 데 약 2주가 걸린단다.이 얼음왕국도 겨울이 지나고 날이 따뜻해지면 모두 녹아 버려. 하지만 해마다 색다른 인테리어로 지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단다. 또 어떤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것. 이 세 가지 조건을 잘 알아야 알고리즘 ‘변수’ 설정에 실수가 없기 때문이다.그런 다음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해 음식의 위치에 따라 음식 가열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예측했다. 맥스웰 방정식이란 전기장과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자기파에서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증명하면, 그건 곧 참인 명제를 찾았다는 이야기와 같다. 갑자기 머리가 아파온다고? 다음 같은 상황을 생각해 보자. 사실 항아리에는 먹물이 가득 담겨 있었다. 누구든 이 항아리에 손을 집어 넣으면 검게 변할 수 밖에 없다. ‘진실한 사람은 손이 물에 닿아도 깨끗할 것’이라는 사또의 말은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책’이 흔들리던 마음을 다잡아 줬다. 오래 전 찬이에게 한 약속이 떠올랐다.“다음 설날엔 삼촌이랑 같이 풀어 보자.”큰 약속을 지킨다며 가족을 힘들게 한 자신이 정작 조카와 쌓은 작은 믿음조차 지키지 못했다는 사실이 너무 부끄러웠다. 수수께끼 책을 챙겨 자신의 코트 안쪽에 넣었다.삼촌은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냈어요. 이후 저는 빛이 반사될 때의 수학적 성질에 대해 계속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지요.“작은 구멍이 뚫린 어두운 방은 바로 우리 눈의 모델이다. 빛은 우리 눈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어온다. 그것은 똑바른 선 모양으로 들어온다.”어두운 방에 작은 구멍을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공들인 부분이다. 3호와 형제처럼 닮았지만 형보다 나은 동생이 3A호다.아리랑 1, 2, 3, 5호, 다음은 3A호?아리랑 위성 시리즈의 시작은 199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국 위성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기술로 위성 기술을 발전시키고, 원하는 지역을 촬영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99년 첫 번째로 발사된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