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현대 과학의 총아라 불리우는 고분자 과학의 발전이 얼마나 지연되었는가를 생각하
면
안타깝기만 하다. 밝은 눈과 열린 마음을 가진 과학자만이 행운의 여신을 인지할 수 있으며, 그녀를 맞이할 준비를 한 과학자만이 결실의 단맛을 보게 된다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흔하게 개인용 휴대전화기가 보급될 것이다. 낙관론자들은 통신이 발달하
면
할수록 민주주의가 번창할 것으로 전망하고, 비관론자들은 오히려 독재가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얼마나 주체적으로 통신을 이용하는가에 달려 있다.허리에 매달린 삐삐 소리를 듣고 급히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도로에서 양복을 차려 입은 사람들이 멱살잡이를 하고 고함을 치는 장
면
을 흔히 볼 수 있다. 만약 교통사고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혀낼 수만 있다
면
그런 ... 더 많다.요컨대 사고해석의 모태는 수집된 자료다. 따라서 사고해석의 신뢰도를 높이려
면
무엇보다 현장조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성공보다 더 중요한 인생의 전기(轉期)가 그에게 찾아온다. 인조과일의 특허를 출원하
면
서 그가 발명가로 변신하게 된 것이다.첫 특허의 명칭은 '인조과일의 제작'. 연이어 '과체류의 제조방법''장식용 인조과일의 착색처리방법' 등의 특허를 얻으러 뛰어다니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과 비슷하게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신호를 운반하는 반송파라는 전파와 결합해 변조된다. 수신기가 변조된 신호를 받으
면
검파기가 반송파로부터 신호를 걸러내어 음파나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이다. 인공위성 우주탐사기 우주망원경의 개발로 이제는 지구적 차원을 넘어 다른 행성과의 통신까지 꿈꾸게 되었다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파스펙트럼이라는 유한한 자원의 이용은 우리 사회가 정보화시대에 성큼 다가서
면
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대처할 기술개발방향은 새로운 주파수대의 이용기술개발과 스펙트럼이용효율향상을 위한 연구, 그리고 새로운 통신방식의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 우리나라도 90년을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개수만큼의 고스트가 생길 수도 있다. 화
면
상에서 고스트가 생긴 위치를 측정하
면
계산을 역으로 수행해 반사를 일으킨 원인을 찾을 수도 있는데, 이는 레이더의 원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어서 흥미롭다.이웃 일본에서는 큰 건물의 외벽에는 반드시 전파흡수체를 발라 반사파가 생기지 않도록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씻고 각종 시술에 임할 때 무균적(無菌的) 조작을 유지하고 카테터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
면
상당부분 그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은 편이나 앞으로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또한 인적 및 물적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된다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해링튼은 자신이 블랙 버치에서 행성X를 찾아내지 못한 것은 "그 행성이 핼리혜성처럼 표
면
이 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변명을 늘어놓았다. 이에대해 로완 로빈슨은 "그렇다하더라도 그가 있다고 주장한 자리에 행성X가 없었다는 사실은 바뀌어지지 않는다"고 되받아쳤다 ... ...
일본 과학의 독창성 논쟁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참가, 아이디어를 내놓고 비판적 질문을 던지는 것이 대단히 유익하다. '관계자라
면
누구든지 명답을 가질 수 있다'. 이 말이야말로 효과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천번 되뇌어야할 명제다.그러나 일본의 의사결정은 상층부에서 이루어진다. 하위연구자들은 평가나 비평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