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다이아몬드가 이보다 훨씬 더 깊은 에서도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53개의 최고급 다이아몬드를 분석했는데, 이 중 15개 다이아몬드에 석류석이 들어있는 것을 확인했지요. 석류석은 지하 300~400km에서 만들어지는 광물로, 지하 750km 아래로 내려가면 석류석의 성질을 ... ...
- [과학뉴스] 생명의 흔적일까? 화성에서 유기화합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은 화성에서 활동 중인 무인탐사 로봇 ‘큐리오시티’가 유기화합물 분자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유기화합물’은 탄소 원자를 기본 뼈대로 가진 화학물질을 뜻해요. 지금까지 NASA의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유기화합물을 찾으려 노력해 왔어요. 유기화합물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로, ... ...
- [과학뉴스] 1억 2500만 년 전 비듬의 주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1억 2500만 년 전의 비듬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이 비듬의 주인공은 바로 공룡이에요. 연구진은 중국 베이징의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화석학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공자새, 미크로랍토르, 베이피아오사우루스,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등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꼽히는 스탠퍼드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 지그프리드 헤커 교수는 지난 5월 2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과정이 약 9~16년 걸릴 것으로 내다봤어요. 가장 먼저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그뒤 2~5년 동안 점진적으로 핵시설 가동을 줄이며, 6~10년 동안 핵시설을 해체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 ...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MW급 레이저를 쏘면 이러한 인공조명을 만들 수 있다고 ‘천체물리학저널’ 11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레이저로 태양의 적외선보다 10배 이상 강한 빛을 내는 인공조명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경 30m 망원경과 2MW급 레이저로는 4.23광년 떨어진,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 ‘프록시마 ... ...
- [과학뉴스] 나방의 가슴 털, 스텔스 기술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대부분의 나방은 소리를 듣지 못한다. 그 대신 ‘가슴 털’로 천적인 박쥐를 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토마스 닐 영국 브리스톨대 생명과학과 연구원팀은 나방의 가슴 털이 음 ...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 결과는 11월 5~9일 캐나다에서 열린 제176차 미국음향학회에서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약물을 전달하는 초소형 의학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제작한 로봇인 ‘나노프로펠러’는 지름 12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길이 400nm의 초소형 로봇이다. 나선형 꼬리를 지닌 올챙이처럼 생겼는데, 약물을 넣을 수 있는 니켈 금속 캡슐에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프로젝트를 공개하며, 첫 관광객으로 일본의 억만장자 마에자와 유사쿠가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마에자와는 일본 패션기업인 조조타운의 창립자이자, 개인 자산을 5조 원 이상 가진 일본 부호다. 마에자와는 2023년 스페이스X의 ‘빅팰컨헤비로켓(BRF)’을 타고 4, 5일 정도 달을 관광하게 된다.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돌렸을 때 측정되는 연산속도를 비교한 순위로, 매년 6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순위가 발표된다. 미국은 서밋 외에도 ‘시에라’(2위) ‘트리니티’(6위), ‘타이탄’(9위), ‘세콰이아’(10위) 등 세계 슈퍼컴퓨터 10위권 안에 5개나 이름을 올렸다. 미국과 선두를 다투는 중국은 우시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관련된 100여 개의 실험을 수행했다. 이 결과는 올해 10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605-1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좀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10초 동안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관측할 수 있으며, 하루에 6시간 동안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