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화」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지방분산을 재촉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보화의 지역격차로 인해 대도시로의 역류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데…요즈음 '정보화''정보시대''정보사회' 등의 단어를 주위에서 흔히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인 정보화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 ...
열등의식의 해소수단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청소년 자신도 자기의 현 위치와 사회적 위치간의 갭(gap)때문에 혼란을 겪게 된다.자신의
얼굴
이나 외모에 대한 자신감은 긍정적 자아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주위 친구에 비해 성장이 처지는 아이는 신체적 열등감에 빠지게 된다. 자주 거울을 보고 몸치장을 하고 외모에 신경쓰게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0이라는 숫자를 숫자의 시발점으로 세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마야인이다. 그들은 0을
얼굴
눈동자 꽃 그림 등으로 표시했다.마야족은 건축 도자기 조각 보석세공술 그림 음악 춤 등 예술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다. 특히 건축술은 라틴아메리카 전 부족중 가장 우수했다. 건축자재로는 석회암으로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별들은 V자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 별무리를 히아데스(Hyades) 성단이라 부른다. 황소의
얼굴
부분을 이룬다. 그리스신화에 따르면 이 황소는 제우스가 아름다운 여인 유로파에게 반해 그녀에게 접근하기 위해 변신한 모습이라고 전해진다. 또 이 황소좌에는 초신성의 폭발잔해인 게성운(M1)이 있다. 이는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필요가 없으므로 이런 식으로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2 ① 해삼은 극피동물에 속하는데,
얼굴
을 옆으로 누이고 다닌다. 입은 관족으로 둘러싸여 있고 다른 끝에는 항문이라 불리는 구멍이 나 있다. 그들은 이곳을 통해 배설한다. 해삼의 항문은 물을 빨아들인 뒤 몸체 바로 안에 있는 관을 통해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쇠부스러기를 붉은 포도주에 넣어서 먹었다고 한다. 또 중세 유럽에서는 젊은 여성의
얼굴
이 창백해지면 못을 사과에 꽂았다가 그 사과를 먹게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고전인 동의보감에도 빈혈을 치료하는데 쇳가루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만화영화의 주인공인 뽀빠이가 시금치를 먹고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알려진 어떤 물질보다 위험하다. 길게는 수십만년 이상 방사선을 내뿜는다. '야누스의 두
얼굴
'을 가진 셈이다.분열중인 핵연료(우라늄핵)는 핵분열과정을 거치면서 더 작은 핵으로 나뉘어진다. 이들 원소들은 주기율표상의 정식 원소지만 매우 불안정하다. 따라서 이들은 다른 핵종으로 붕괴해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않는 필름을 조심스레 만져가며 머리맞대고 고심한 적도 있다. 그러다가 바라본 서로의
얼굴
에서 우리들의 무한한 발전을 확인할 수 있어 닦지 않은 이를 보이며 함께 웃을 수 있었다.물론 아직까지 비디오며 사진이며 슬라이드며 작품을 만든다는 것이 서툰 수준이긴 하지만 우리들 손길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선보여 관람객들의 인기를 모았다.이 시스템은 폐쇄회로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로
얼굴
의 윤곽을 잡고 이 데이터를 컴퓨터가 영상처리기술(image processing)로 인식해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관상을 풀이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한 설창훈씨는 "영상처리 기술을 일반인에게 소개하기 위해서 누구나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감정변화나 질병도 역시 꼭 물어보거나 검사해 봐야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얼굴
표정이나 자세와 행동의 변화, 말씨만으로도 그 사람의 감정을 충분히 알 수 있을진대 만약 인간에 대한 경험이 많은 의사라면 그의 병들음(물론 서양의학의 질병개념은 아니다)까지도 알 수 있지 않겠는가.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