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교육과정 콘텐츠가 한
자리
에~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새로운 교과서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온라인 콘텐츠를 클릭 한 번으로 즐겨 보세요.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운영하는 과학포털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은 지난 달부터 새로운 교과서에 등장한 탐구활동에 도움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직 교사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개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물을 좋아하는 소형 물고기로 남해나 제주도 근해에 살며, 고소하고 비린 맛이 없는
자리
물회로 유명하다. 놀래기과의 혹돔은 이마에 커다란 혹이 달려 있는 물고기로 1m에 육박하는 엄청난 몸집을 자랑한다. 혹은 수놈에게만 생기는데, 어릴 때는 혹이 없지만 성숙하면 이마가 불룩하게 부풀어 올라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70%의 여학생이 30분 이내에
자리
를 떴다. 반면 곁에 아무도 없을 경우에는 10%의 여학생이
자리
를 떴다.자신만의 공간을 갖고 싶어 하는 욕구는 아이에게도 발견된다. 아이들은 텐트 또는 우산으로 만든 집 안에서 노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특별한 장난감 없이도 이 안에서 몇 시간씩 논다. 반대로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자리
에 오면 그 동안 거북은 10m를 앞서 간다. 다시 아킬레스가 10m 달려서 거북이 있던
자리
에 오면 그 동안 거북은 1m 만큼 앞서 간다. 아킬레스가 달리는 동안 거북도 항상 아킬레스의 1/10의 속도로 달리고 있다. 달릴수록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간격은 줄어든다.그러나 아킬레스가 거북을 추월하기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러나 이건 참이 아닙니다. 1936의 양의 제곱근은 44지만, 19와 36의 합은 55거든요. 모든 네
자리
수가 다그렇게 되는 건 아니라는 얘기죠. 베레미즈가 든 세 가지 예는 모두 참이지만 거기서 이끌어 낸 법칙은 거짓이라는 말이 됩니다.이것은 지난 호에 설명했던 귀납법에서 범하기 쉬운 오류입니다.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가깝다”고 설명했다.마침 박사과정에 있는 강범구 연구원이 반응물질을 섞기 위해
자리
를 잡았다. 유리용기에 연결된 유리관마다 음이온에 따라 독특한 색을 띠는 고분자 용액들이 들어 있었다. 강 연구원은 드라이아이스로 -78°C를 유지하는 아세톤에 먼저 유리용기를 넣어 온도를 낮췄다. 온도가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열린 허블펠로우 학회에 다녀왔다. 전 세계 허블펠로우들이 모여 연구 내용을 교류하는
자리
였다. 허블우주망원경 프로젝트를 기획한 원로 과학자 리카르도 지아코니도 참석했다. 허블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내기도 한 지아코니 교수는 허블펠로우십을 만든 장본인이다.“젊은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접경지대에 있어 지진 피해가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유라시아판 동남부에
자리
한 한반도는 그보다 비교적 안전지대에 속한다.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 인도판이 만나는 경계면에서 최소 수백km나 떨어져 있다. 지진 다발지역에서 비교적 떨어져 있는 것이다. 한반도 지진 대부분은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일반인뿐 아니라 저희들에게도 큰 기회입니다. 다들 그 분야에서 최고 실력자들이 모인
자리
이니 여기서 공동연구의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러고 보니 김 교수님이 만든 마이크로RNA를 제가 개발한 나노입자에 붙여 암세포 같은 표적부위에만 작용하는 약물을 만들 수도 있지 ... ...
학문 그 이상을 배운 소중한 경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호주의 연구자들과도 학회 모임을 통해 종종 만나서 서로의 연구주제를 발표하는
자리
를 가졌다. 국내 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세계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던 기회였다. 연구원들에게 “Hi, Bob!”이라고 인사받는 맥케이 교수가 이끌어가는 탈권위적이고 자유로운 연구실 분위기가 한몫했다.필자는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