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말했다.“우리 회사의 강점은 먼저 광학, 정밀기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의 1등
전문가
들이 한 회사에서 협력해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 제품을 LG필립스LCD, 삼성전자 등 세계 1위인 회사의 공장에 설치해 끊임없이 초일류로 개선하는 것이 두번째 강점입니다. 일본과 미국에 경쟁 회사가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와이브로 또한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으면 시장에서 사장될 수밖에 없다.한편
전문가
들은 이동전화가 2.5세대에서 3세대, 4세대로 진화할수록 와이브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와이브로와 휴대전화가 시장에서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4세대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때문이다. 김인수 교수는 “지자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점들이 너무 많다”며 “몇몇
전문가
들은 지자기 역전을 걱정하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선 견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고 밝혔다.지구 X선 찍을 스웜 프로젝트지난해 6월 유럽우주국(ESA)은 세계에서 가장 큰 지자기 추적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02년 영국 주간지 ‘옵서버’는 “인류는 진화의 정점에 도달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전문가
들의 의견을 보도했다. 영국 런던대 스티브 존스 교수를 비롯한 진화정체론자들은 더이상 인류의 다양한 형질 변화가 일어나지 못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유전적 우열에 관계없이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아울러 현재 교과서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 산맥체계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학계와
전문가
그리고 일반 국민 사이에 끊이지 않았다.논쟁의 핵심은 ‘기준을 땅밑 지질로 삼느냐 아니면 땅위 지형으로 삼느냐’하는 산맥의 개념 문제와 ‘특정 산맥이 존재하느냐 아니냐’하는 실체 문제였다. ... ...
한국교육에 나라 망치는 '음모'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청소년의 꿈이 정년보장인 나라는 희망이 없다.”한국 경제에 대해 신랄한 독설을 퍼부어 유명한 서울대 이면우 교수(60)를 만났다. 이야기 중에 그는 최근 학생 ... 보이지 않는 것을 추구하라. 빠른 현상에 집착하지 말고 느린 파문에 주시하라. 그러면 세계 최고의
전문가
가 될 수 있다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클릭 회수만 4974회, 하루평균 541만7420건의 접속 회수를 가리키고 있었다. 한편 펍메드가
전문가
를 위한 서비스라면 ‘메드라인플러스’는 일반인에게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다. 도서관측은 매일매일 건강과 생활에 관한 최신 의학 정보를 알기 쉬운 용어로 풀이해 제공하고 있다.이처럼 펍메드의 ... ...
과학기술정보의 총집합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할 수 있어 원하는 분야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KISTI는 논문을 작성하는
전문가
들을 위해 원문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 저널이나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서적을 원문 내용 또는 번역된 상태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긴급FAX서비스를 이용하면 12시간 이내에, 보통은 4일 정도면 자료를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손허리뼈와 손목뼈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들은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도움을 준다.컴퓨터
전문가
들은 마우스증후군이 잘 생긴다. 컴퓨터 마우스를 오랫동안 쓰면 손목을 계속 손등 쪽으로 펴고 있어야 한다. 때문에 손목관절에 무리를 주게 돼 손목관절염이 잘 생긴다. 손목관절염이 생겼을 경우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휴머노이드가 2개 나왔다고 하더라도 한국이 과연 지능형 로봇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까.
전문가
들은 한국의 강점을 로봇과 결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KAIST 로봇연구센터 변증남 센터장은 “미국은 인공지능, 일본은 기계와 전자기술이 앞서 있다면 한국은 무선통신 기술이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