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뉴스
"
대
"(으)로 총 10,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 1943명…서울 719명 두 번째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소아청소년을
대
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 6월 중순부터 12~17세 소아청소년을
대
상으로 접종을 시작해 약 52%가 접종 완료했고, 독일은 지난달부터 12세 이상 소아청소년에게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영국과 노르웨이는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심근염이 발생할 위험을 고려해 12~15세 ... ...
[인터뷰]"국민이 '영끌' 지원한 소부장 기업들 '죽음의 계곡' 잘 건너게 하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00~2010년 과학기술부 21세기프런티어사업단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2010~2019년 한양
대
나노융합과학과 교수 △2019년 9월~현재 나노종합기술원 원장 △세계 최초 40나노 32기가 낸드플래시 CFT 개발해 기술이전 및 양산 성공 용어설명 | 나노종합기술원은 나노기술 연구와 개발에 필요한 시설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동물 문화에
대
한 최초의 보고는 1949년 학술지 ‘영국 조류’에 발표됐다. 1930년
대
박새가 우유병의 종이 뚜껑을 찢어 위에 뜬 크림을 먹는 모습이 포착됐고 10년 사이 이 행동이 영국 전역으로 퍼졌다. 영국 조류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코로나19 DNA 백신 인도서 첫 긴급사용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인도 제약사 지두스 카딜라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DNA 백신 ‘ZyCoV-D’가 지난 9월 초 인도 규제 당국으로부터 세계 첫 코 ... 논문 공개를 위해 전체 데이터를 조만간 제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초까지 최
대
5000만도스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국민 10명 중 7명 원자력 발전 이용 찬성"…60세 이상 찬성 비율 가장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축소한다는 시나리오를 발표했다”며 “이는 원자력 비중의 유지 또는 확
대
를 지지하는
대
다수 국민의 뜻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기에 탄소중립위원회의 편향적 운영을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 ...
내 나이는 누구로부터 많이 감염되고 있을까…코로나 연령별 감염률 행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단계를 유지하고 백신 접종률을 반영하면 향후 2주간 확진자 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기
대
했다. R값이 0.9로 낮아지면 2주 후인 9월 24일 확진자 수는 약 1500명, R값이 0.8까지 낮아지면 1300명으로 예상했다. 반면 감염재생산지수가 1.1로 커지면 2주 후 확진자 수는 약 1971명, 1.2까지 커지면 2214명까지 ... ...
[2021국정감사]"최근 2년간 국내 입항한 일본 활어차 1.9%만 방사능 검사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한정돼 있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일본 활어차 해수 문제는 청와
대
국민청원 20만 명을 넘긴 국민적 관심 사안”이라며 “요식행위에서 벗어나 실효성 있는 검사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이진용 한의학연 원장 “2050년 노벨상 수상 도전...감염병
대
응역량 키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이진용 한의학연구원장이 취임식을 하고 있다. 한의학연구원 제공. “기초의과학 연구를 확
대
하고 다양한 융합연구를 통해 한의학을 과학화 ... 강점이 융합연구를 통해 녹아들 수 있다면 다른 바이러스가 미래에 출현하더라도
대
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성층권에 수증기 쏟아붓는 거
대
뇌우
동아사이언스
l
2021.09.12
하버드
대
지구 및 행성과학부 교수는 사이언스에 “뇌우를 물리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대
류권과 성층권 사이 이동 문제를 해결하고 영향을 수치화할 수 있게 됐다”며 “이 메커니즘이 변화하는 기후 조건에 어떻게 반응할지도 예측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 "비
대
면 수업 길어지면 득보다 실"…"집단감염 주의하며
대
면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9.11
대
해 경고했다. 이 교수는 "그간 온라인 수업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수업의 질이나
대
면 수업으로 얻는 이점들을 잃었다"며 "학계에서는 아이들이 그동안 외부활동을 거의 하지 못하고 집 안에서 디스플레이를 자주 들여다 본 탓에 비만과 우울증이 늘어났다고 우려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