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2,824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에 주요 에너지원 될 지도
과학동아
l
198804
탄화수소가 증발하거나 분해되지 않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만년빙이나
바다
속에서의 가스탐사는 미국의 몇개대학과 지질조사소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에너지청은 가스층에서 가스를 뽑아내고 정제하는 비용 즉 경제성을 검토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 실험장치를 고안해 내기도 ... ...
PART III 인접 연안국간의 협력연구가 필요 - 환경 특성을 공동으로 조사해야
과학동아
l
198804
바다
의 이용이나 자원의 개발에 관한 인접 연안국간의 이해가 상충될 소지가 많은
바다
이기도 하다.따라서 연안 각국의 협력이 없이는 자원의 조사 및 환경특성의 파악은 물론, 자원 및 환경관리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특성때문에 UN해양법협약(초안제123조)은 반폐쇄해에 면하고 ... ...
심해의 잠수부 원격조종로봇(ROV)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803
앞으로 많은 활용이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적인 차원이나 대기업 차원에서
바다
로 눈을 돌려 이러한 첨단의 장비를 이용하여 좋은 연구결과와 자료를 많이 확보하고 기술을 축적 발전시켜 명실공히 해양과학의 선진국 대열을 향하여 매진할 때가 온 것 같다 ... ...
「핵가을」이 「핵기근」몰고 온다
과학동아
l
198803
12℃떨어진다는 것. '핵가을'이론이라 불리우는 이 이론은 핵겨울이 안되는 이유로 △
바다
의 방대한 잠열이 육지냉각 완화 △ 연기의 상당부분이 '검은 비'로 제거됨 △ 연기로 인한 온실 효과 등을 들고 있다.한편 지난 86년 12월 미국방성은 로스앤젤레스근처의 떡갈나무 숲 10만평에 화재를 일으켜 ... ...
북극 그 자연과 이용가능성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803
그 진위는 알수 없지만 북방의
바다
에서 그가 '투명한 떠있는 성'을 보았다는 얘기는
바다
에 뜬 빙산을 연상케 하는 점에서 흥미깊다. 8세기에 아일랜드의 승려들이, 9세기에 바이킹들이 아이슬란드에 이르렀고 10세기 끝무렵부터 11세기 초반에 걸쳐 바이킹들이 그린랜드를 거쳐 북미대륙에 ... ...
남해안의 겨울철새 도래지를 살피다
과학동아
l
198803
육로와 해로를 모두 이용, 입체적으로 진행됐다. 특히 눈길을 끌었던 것은 동부면 학동 앞
바다
의 아비류 도래지. 탐사대는 이곳에서 2천~3천마리에 달하는 근래에 볼 수 없었던 회색머리아비의 큰 집단을 발견하는 행운을 맛보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거제도 연안의 겨울철새의 숫자가 크게 줄어,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03
이동하고 있읍니다. 이들이 편안하게 지내고 갈 조용한 환경을 마련해야겠지요.
바다
새의 보고였던 거제도연안의 철새도 실망할 정도로 많이 줄어들었읍니다. 저유탱크기지의 건설, 조선소의 건설, 폐수의 유출 등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새는 자연생태계에서 가장 민감한 존재입니다. 또 ... ...
PART.2 핵무기의 종류 전략핵 떠받치는 세 기둥
과학동아
l
198803
모두 해상발사 순항미사일을 배치할 계획을 갖고 있다.□핵잠수함해저 5백m의 깊은
바다
에서 몇달이고 수면에 모습을 보이지 않는 핵잠수함은 비밀 해저미사일기지로서 핵전력의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보통 전략핵잠수함은 3천~5천t 규모이며 60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두달간 계속 잠항한다. ... ...
우주에서의 생활을 미리 해본다
과학동아
l
198802
본딴
바다
도 만든다. 열대우림에는 2백종 이상의 식물을 심고
바다
에는 5백종의
바다
서식생물이 방류되었으며 강에는 식용의 물고기들이 놀고 그 위에서는 새가 날며 땅위에는 쥐 도마뱀등 6백종의 동물이 한쌍씩 살게된다. 이런 모든것이 거대한 온실에서 완전히 밀폐되어 물이나 대기의 순환과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02
가진 새라는 뜻의 '수도돈토른'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지금까지 존재하는 가장 큰
바다
새인 방랑하는 신천옹과 이 괴물을 비교해 보라. 신천옹의 날개 폭이 11피트인데 비해서, 옛날의 펠리칸은 아마 19피트에 이르는 날개폭을 가지고 있엇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지금은 멸종된 독수리-이제껏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