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11
000만개.● 종이컵 1개 생산하는 펄프를 수송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frac{132톤}{11억
100
0만개}$ = 0.119g/개3. 펄프의 국내 이동경유를 사용하는 15톤 트럭(연비 1.8km/L)이 400km를 이동한다고 가정.● 소모하는 경유의 양은?▷ $\frac{400km}{1.8km/L}$x0.79kg/L(경유의 비중)=17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낳지. 또 기르기도 쉽단다. 염색체 수도 적으면서 침샘에 있는 염색체는 보통 염색체보다
100
배나 커서 관찰도 쉬워. 이 때문에 나를 이용해서 유전을 연구하는 거지.1909년 뉴욕 컬럼비아대학교의 동물학 교수인 토머스 헌트 모건은 초파리 연구를 통해 유전자가 염색체에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11
‘로보카’들은 6시간 동안 다른 차나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고 교통규칙을 지키며
100
km 코스를 완주해야 한다.식물의 성장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휴면아의 형성에 관여하고 낙엽지는 것을 촉진한다 약칭은 ABA글루코스 등 당류로부터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 락트산균 또는 유산균이라고도 ... ...
1. 하드디스크 소형화 일등공신 거대자기저항
과학동아
l
200711
하드디스크 헤드 기술 덕분에 1cm2 당 메모리 용량이 약
100
Mb로 높아졌으며 현재는 그의
100
배 수준인 10Gb에 이르렀다. 유니버설 메모리를 향해 GMR 효과는 하드디스크의 기억용량을 크게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최근 하드디스크가 아예 필요치 않은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를 개발하는 원리로도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11
대목이지만 경상대 수의학과 이희천 교수는 “해부학적으로 S자형 척추일 가능성이 거의
100
%”라며 이형구 작가의 의견을 지지했다.그런데 벅스버니의 골격을 봐도 토끼라는 느낌이 들지 않을 수 있다. 이 교수는 “벅스버니의 두개골이 토끼보다는 고양이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11
822나 사자자리에 있는 LEO1도 우리은하의 위성은하다. 이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서 약 50만~
100
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은하세계에도 ‘약육강식’ 통해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는 무엇일까. 천문학자들은 최근 몇년 사이에 마젤란은하보다 우리은하에 더 가까이 있는 작은 은하를 여럿 발견했다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11
산호초는 해양 생물의 최대 서식지다. 주변 해역에선 어류 4000종과 무척추동물과 조류
100
만 종이 어울려 살아간다. 바다 생물의 집합소인 셈이다. 산호초 수호하는 ‘맹그로브’ 미크로네시아가 해양 생물의 천국이 된 이유가 뭘까. 과학자들의 손가락은 이상스럽게 생긴 나무를 향한다. 남위와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11
보도했다. 이는 페이스북의 현재 가치를 마이스페이스의 인수가보다 20배나 많은 무려
100
억 달러로 잡았다는 얘기다.국내에서도 2세대 SNS 사이트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필자가 운영하는 ‘링크나우’(www.linknow.kr)는 직장인과 전문가에 초점을 맞춘 SNS 사이트다. 국내 최초로 친구의 친구의 친구, 즉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11
못할 만큼 젊어졌지만, 기본적인 얼굴형과 피부 톤은 남겨뒀다.놀랍게도 실험참가자
100
여명이 선택한 후보는 수백만명의 유권자가 내린 결정과 일치했다. 신문과 TV, 광고의 영향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얼굴만으로 좋아하는 후보를 고른 결과였다. 2차 조사에서는 참가자들이 후보의 얼굴에서 어떤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11
쪼여 단백질 분자가 매우 짧은 시간동안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내는 방법이다. 1펨토초는
100
0조분의 1초라는 짧은 시간으로 펨토초 레이저펄스를 사용하면 원자나 분자에서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어두운 방에서 댄서가 춤을 추고 있고, 방의 조명을 켰다 껐다 한다고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