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 잘 가려면 남녀
공학
가지 마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일리가 있다. 물론 그렇게 하면 여학생을 역차별하는 셈이 된다.그러나 단성학교가 남녀
공학
보다 더 낫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이르다. 학교를 다니는 목적이 단순히 좋은 성적과 대학교 입학만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며, 성적 이외의 장점에 대해서는 아직 학자들 사이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았기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중국 의학과는 별개로 윈난만의 독특한 의학이 발달해왔다. 윈난 의학과 최신 생명
공학
을 접목하면 식물 자원을 연구하는 데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윈난에는 이 곳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의 비율이 30%가 넘는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전체 자생식물 중 약 10%만이 특산종이다. 이토록 다양하고 풍부한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현대 문명의 중심에 서있는 원료 ‘석유’. 자동차 연료에서 화학 섬유까지 석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찾기 어렵다. 현대 문명만이 아니다. 노아의 방주에도 방수용 재료로 원유를 뜻하는 ‘역청’을 썼다는 성경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인간이 석유를 얼마나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을지는 누구도 확 ...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때문이다. 현재 기술로는 무작위 노이즈를 제어할 수 없다. 임창환 한양대 전기생체
공학
부 교수는 “무작위 노이즈가 뇌의 활동처럼 보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같은 샘플을 여러 번 촬영할 경우 무작위 노이즈를 유의미한 뇌신호로 잘못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베넷 교수는 “이전까지는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심각하고 부정적인 결과라 파문이 컸다.세랄리니 박사팀은 세계적인 다국적 생명
공학
회사인 몬산토의 베스트셀러 제초제 ‘라운드업’에 내성이 있는 GM 옥수수 ‘NK603’을 실험 대상으로 했다. 이 옥수수에 라운드업 제초제를 쓴 경우와 쓰지 않은 경우, 그리고 라운드업 제초제만 사용한 세 ... ...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결정구조가 얼마나 규칙적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결정구조가 규칙적일수록 전도성이 더 좋아진다. 그런데 결정구조가 2차원 평면이 아닌 입체 구조라면 불규칙한 부분이 반드시 발생한다. 평평한 종이로 축구공을 감싸려고 했을 때 구겨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이치다.폴 차이킨 미국 시카고 ... ...
“조바심내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여기에 스스로 궁금한 것을 더 찾아서 첨가한다면 자신만의 교재로도 만들 수 있다.“자.
공학
자, 의사 넌 다 가능해. 그런데 지금은 이를 악물고 오기를 가져야해. 자신에게 솔직해지자. 그러지 않으면 네가 너를 망치는 격이 되는 거야. 이대로 가면 고입 때 슬퍼져, 대학갈 때는 더 슬퍼질 수 있어. ... ...
가려운 곳 ‘재미있게’ 긁어주자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임명장도 받고 생명
공학
연구원에서 재미있는 체험활동도 할 수 있는 기회랍니다. 정기자 선발 인원은 20명입니다. 단, 평가 결과에 따라 선발 인원은 바뀔 수 있습니다. 늦지 않았습니다. 더욱 열심히 활동해 주세요 ... ...
목소리 없는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앓고 있는 세계적 석학 스티븐 호킹 박사가 세상과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보조
공학
기술 덕택이다. 지금까지 호킹 박사는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두 손가락을 이용해 컴퓨터에서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책을 집필하거나 강연 활동을 해 왔다. 하지만 최근 호킹 박사의 상태가 나빠져서 손가락의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기계항공
공학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 최만수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의 전공은 바로 나노 입자들을 자유롭게 배열하고 쌓는 것이다. 최 교수가 이끄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글로벌 프론티어 연구단’은 나노 기술을 이용해 기존 태양전지와 연료전지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