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의 기본물질 쿼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동안 추적해온 원자 내부의 비밀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중성자의 발견으로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원자의 구성물질은 중성자, 양성자, 전자로 모두 짝을 맞췄다. 더 중요한 사실은 데모크리토스(기원전 460-370)의 원자설 이후 2천4백여년 동안 자연계의 기본물질로 군림해온 원자(atom)의 자리에 중성자, ... ...
생각지도 않았던 성과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판구조론을 과학자들로 하여금 받아들이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암석에
남아
있는 지구자기장의 방향을 측정한 자료였다. 그런데 이를 측정한 기기를 개발한 분야는 지질학이 아니라 물리학이었다. 원래 이 기기는 해저의 암석을 측정하는 일과는 전혀 상관없이 만들어진 것이었다.사실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서운관에서도 관측을 했다. 지금도 이별의 광도변화를 정밀하게 관측한 기록이
남아
있어 과학사의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케플러의 초신성 이후 4백년 가량 지난 지금까지 우리은하 내에서 초신성 폭발 장면을 본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언제 어느 곳에서 이런 극적인 우주 드라마가 펼쳐질지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그러나 현재 없는 탑을 별에 맞추어 새로 찾아내기를 기다리기 보다 현재 탑자리가
남아
있는 곳이 별과 일치하는지를 먼저 살피는 것이 순리일 것이다. 기자는 탑자리가 있는 곳을 표시하고 옮겨온 탑은 없애보았다. 도면에는 원래 있던 세 개의 지점이 사라지고 4개의 지점이 새로 생겼다. 별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지방성분도 한몫 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최대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은 4.5L고, 보통
남아
있는 공기량도 1.2-1.4L가 된다. 이것은 물 밀도의 8배나 되는 철로 만든 배가 물위에 뜰 수 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즉 물체가 부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부피를 크게 만든다는 얘기다.그렇다고 물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여드름의 주증상인 ‘면포’가 만들어진다. 면포는 피지가 약간 굳어지면서 모낭 내에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오래 두면 밖에서 볼 때 검은 색을 띤다. 여기에 피부에 살고있는 피 애크니(P. acne)라는 세균이 달라붙어서 이 피지를 분해하면 독성을 갖는 물질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모낭의 염증이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이즈를 비롯한 난치성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아서 감염되면 며칠 내에 생명을 잃게 만든다. 하지만 그런 탓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정도가 약하다. 이에 비해 에이즈 바이러스는 빠른 속도로 전염이 되고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틈으로 스며 나와 기름의 휘발성분은 증발해버리고 끈적끈적한 아스팔트와 같은 액체만
남아
만들어진다. 처음 사람들은 이곳에서 가끔 발견되는 뼈가 실수로 빠진 가축의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1901년부터 시작된 과학적인 조사는 꽤 놀라운 사실을 알려주었다. 지금은 멸종된 매머드와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것은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만 없어졌을 뿐 원래 물질이 가지고 있던 질량은 고스란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중력붕괴를 일으키고 난 별은 비로소 ‘블랙홀’이 된다.볼 수 있는 블랙홀빛마저 가두어버린 블랙홀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을까? 블랙홀에서 나오려는 빛은 중력을 이기지 못해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자전축이 약간씩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미행성의 충돌로 생겨난 것으로 추측된다.
남아
있는 미행성들이 분산되는데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태양계의 기원을 거칠게 재구성해 보았다. 그러나 태양계의 특성은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모든 관측사실을 잘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은 아직 없다. 최근에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