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생충' 생태계 주연배우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신은희(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엄기선(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류재인(기생충병연구소 박물관과 학예사), 정봉광(기생충병연구소 연구과 선임연구원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데 30년이 걸린 반면, 연가시는 50년 이상이 걸렸답니다. 또한 2017년 미국 UC버클리대학교 연구팀은 생태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기생충 457종에 관련된 연구 자료를 분석해 ‘2070년에는 기후변화로 주요 기생충의 3분의 1이 멸종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5~10%의 기생충이 기후변화로 멸종되면 ...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베타-아밀로이드가 뭉쳐져서 뇌에 잔뜩 쌓이며 기억력이 급격히 떨어지죠. 그런데 서울대학교 신은희 교수팀은 톡소포자충이 치매에 걸린 쥐의 뇌에서 면역체계를 조절해 베타-아밀로이드가 뇌에 더 쌓이는 걸 막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덕분에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는 치매에 걸려도 기억력을 ... ...
- [과학뉴스] 개의 눈이 선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6월 17일,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줄리아나 카민스키 연구원팀은 개가 선한 눈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 6마리와 늑대 4마리를 해부해 얼굴 근육을 비교 분석한 결과, 늑대와 달리 개는 눈윗근육과 눈옆근육이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Q우와, 너희 좀 똑똑한 것 같은데?놀라긴 일러. 지난 6월 5일, 호주 로열맬버른공과대학교 애드리언 다이어 부교수팀은 꿀벌이 기호와 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을 갖췄단 사실을 발표했어. 꿀벌이 숫자 ‘0’의 개념을 이해하고, 간단한 덧셈과 뺄셈도 할 수 있다는 지난 연구에 이은 추가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5월 28일, 서강대학교 화학과 신관우 교수님 연구실에 기자단 친구들 4명이 찾아갔어요. 친구들의 손에는 샴푸, 치약, 로션 등이 들려 있었지요. 교수님께 드리는 ... 도움신관우(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조대연(서강대학과 화학과 석사과정), 구지영(서강대학교 화학과 학사과정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게임을 만들기 위해 ‘아이팝콘’을 이용했어요. ‘아이팝콘’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 랩에서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를 이용하는 코딩 제품이에요. 아이팝콘은 아이팝콘 기기와 아이팝콘 앱으로 구성돼 있어요. 아이팝콘 기기에는 버튼과 가속도, 기울기,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있다는 증거예요. 다른 은하와 합쳐지는 과정도 은하의 성장 과정 중 하나거든요.와세다대학교 이노우에 아키오 교수는 “다음 연구는 주요 화학 원소인 질소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 분자까지 찾아내는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은하의 진화에 관련된 물질의 순환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라고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문자, 숫자 등 여러 기호를 조합하여 만든 그림에서 시작됐어요. 1982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컴퓨터과학자인 스콧 팔먼이 제안하면서 유명해졌지요. 예를 들어 그가 제안한 ‘스마일리’ 이모티콘(:-))은 콜론(:), 마이너스(-), 오른쪽 괄호())를 합쳐 만들어졌어요. 요즘엔 메신저에서 쓰는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가 열렸어요. 올해는 ‘생물다양성을 품은 광릉숲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라는 주제로 24시간 동안 포천 국립수목원을 탐사해 보았지요. 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대원들은 하루 동안 광릉숲에서 얼마나 다양한 생물들을 찾았을까요? 24시간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