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실제로 만든 로봇도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항공우주학과 데이비드 밀러 교수는 지난 1999년 학생들에게 스타워즈 5편의 한 장면을 보여주면서 “이런 로봇을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다. 그가 보여준 로봇은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작고 동그란 드로이드로, 제다이 마스터 요다가 주인공인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지난 10월 23일과 24일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수학 100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 수물과 설립 100돌을 맞아 다채로운 행사가 치러진 것이다.그런데 20세기 초 유명한 수학자라고 하면 힐베르트, 푸앵카레 등 줄줄이 서양 수학자만 떠오른다. 국내 수학자에 대해선 그만큼 잘 ...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조사합니다. 환자인지 아닌지 구분하지 않은 채 식습관을 조사하고, 충분한 시간이 지난 다음 암에 걸렸는지를 조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암에 걸렸는지, 가공육을 매일 일정량 이상먹었는지에 따라 사람들을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여기서 ‘가공육을 매일 평균 50g씩 먹었고 대장암에 ...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SW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바흐와 같은 천재 작곡가의 영역에도 도전장을 내밀고있다. 지난 8월 미국 예일대 컴퓨터과학과 도냐 퀵 박사는 ‘쿨리타’라는 인공지능 작곡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했다. 쿨리타는 기존의 악보를 이용해 음악적 요소를 분석한 뒤 음계를 조합해 새로운 음악을 만든다.퀵 ... ...
- 매력적인 날개를 펴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마지막 게임카페예요. 아주대학교 산학협력원에서 만난 오규환 교수님과 학생들은 먼저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게임 기획안을 다시 살펴봤어요. 캐릭터가 적을 피해 아이템을 먹는 게임에 각자 스토리를 입히고, 어울리는 캐릭터도 그렸어요. 특히 비오는 날 번개를 피해 집에 무사히 도착하면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바치게 만든다. 동시에 그것을 함께하지 않은 상대방을 강하게 배척한다.또 다른 예도 지난해 학술지 ‘역사동역학’에 발표됐다. 미국, 프랑스, 영국의 연구자들은 모로코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모로코는 최근 이슬람국가(IS)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 연구팀은 이슬람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후변화 대처에 중요한 두 가지는 녹색기술의 발전과 그것을 뒷받침할 자금이다. 지난 5월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IK)는 기술이 발전하면 지구 기온 상승폭을 1.5℃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894년 영국의 한 경제학자가 타임지에 “런던의 인구가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Young Engineers Honor Society)’의 회원들. 한국공학한림원 산하 공대생 연합동아리인 예스는 지난 10년간 전공 설명회를 40회 넘게 한 베테랑들이다. 이 날은 정신여고 1, 2학년생 150명, 학부모 및 교사 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컴퓨터공학,전자공학, 재료공학, 기계공학, 건축공학을 소개했다. 나이 지긋한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비싼 거예요. 귀한 몸값을 자랑하는 인공먼지죠? 먼지를 닮은 똑똑한 센서, 스마트더스트지난 4월, 미국 데니스 실버스텔러 미시간대 전자컴퓨터공학연구소 연구팀이 크기 1mm³의 초소형 컴퓨터 ‘M³’, 일명 ‘스마트더스트(Smartdust)’를 개발했어요.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컴퓨터 중 가장 작지요.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순간적으로 생겼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존재를 밝히기가 쉽지 않았다.이를 밝히기 위해 지난 2013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은 ‘미니빅뱅’을 재현했다.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로 에너지가 약 1000억 eV(전자볼트)나 되는 양성자를 서로 빛에 가까운 속도로 부딪혀 태양 중심부보다 30만 배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