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997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약물재창출'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심사 7일내 완료
연합뉴스
l
2020.04.13
제공하기로 했다. 개발 중인 의약품과 백신의 효능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동물
모델을 개발·공유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전담관리자(Project Manager)를 지정해 연구개발부터 허가심사 등 단계별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 안전성이 입증된 ... ...
사슴에게 쫓기는 늑대 ‘포착’
팝뉴스
l
2020.04.12
사슴은 비록 채식
동물
이지만 덩치가 크다. 게다가 늑대는 숫자가 많아야 육식
동물
로서의 위엄을 갖는데, 앞에 있는 늑대는 혼자 뿐이다. 사진은 숲에 설치된 카메라에 촬영되었으며, 캐나다 온타리오에 있는 푸카스콰 국립 공원이 4월 1일 트위터에 공개한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슬기로운
동물
원 생활] 독수리 '하나'가
동물
원에 온 사연
2020.04.11
멸종위기종인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
동물
원에서 학생 실습생으로 일을 시작해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 ...
과기부 "코로나19 약물 검증 생쥐모델, 8월께 국내 기관에 제공"
연합뉴스
l
2020.04.10
동물
이용이 필수적"이라면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동물
모델을 신속히 개발해 현장에 보급해 달라"고 연구진에게 당부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
2020.04.09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
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 ...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04.09
예외 사례로 꼽혔다. 포유류가 육지에서 다시 물로 돌아간 ‘역진화’가 일어난
동물
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역진화 사례가 다양한 생물에서 발견되며 진화가 방향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대니얼 크로나워 미국 록펠러대 사회진화및행동연구소 교수팀은 거북 개미속(Cephalotes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구멍을 낸
동물
에게 물을 먹이면 실제로는 몸이 물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는데도
동물
은 일시적으로 갈증을 느끼지 않았다. 풍선을 위에 넣고 부풀려도 역시 배고픔이나 갈증을 느끼지 않았다. 생리학자들은 소화기에 물이 흐를 때 감지되는 '화학적 자극'과 소화기의 팽만감이라는 ‘물리적 ... ...
"'3책5공' 때문에 최고 권위자도 참여못한다"… 코로나19 긴급대응연구사업 곳곳 '구멍'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시어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이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해
동물
실험까지 마쳤다. 렘데시비르와 비슷한 원리를 이용한 물질로 올 봄 임상시험에 들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제공 정부가 진행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 대응을 위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 블루'
2020.04.08
모르는 심리적 고립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격리는 뇌에 어떤 변화를 줄까.
동물
실험의 사례를 들어보고자 한다. 생쥐를 장기간 사회적으로 격리시키면(생쥐의 경우 2주로 생쥐의 일생에 비해 꽤 긴 시간이다), 뇌 백색질의 수초(신경섬유 다발을 보호하고 있는 막)들이 벗겨지고 뇌 영역들의 ... ...
보건연, 코로나19 '바이러스유사체' 백신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허가를 취득해 백신 후보물질을 제작할 수 있었다”며 “실험
동물
에서 다양한 백신후보물질의 효능도 분석하고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성순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백신 개발은 기초 개발부터 임상시험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나, 향후 비임상 및 임상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