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뉴스
"
저널
"(으)로 총 2,941건 검색되었습니다.
낮잠 45분 자면 기억력 5배 향상 된다! 뇌가 새롭게 배운 정보를 정리
동아닷컴
l
2015.03.24
향상에는 도움이 된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학습과 기억의 신경생물학
저널
’ 최근호에 실렸다. 한편 작년 미국 텍사스 베일러 대학 연구진도 약 90분의 낮잠이 청소년의 기억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010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 버클리캠퍼스 매튜 ... ...
미세먼지에 중년 여성 건강 위험!
2015.03.23
미세먼지 속에 포함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가 대사질환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H는 나 ... PAH 노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역학·공중보건
저널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2월 10일자에 실렸다. ... ...
“우주에 ‘아폴로 플랜트’ 지으면 어떨까요”
2015.03.23
잡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국내에는 학회에서 발표할 논문을 실을
저널
이 없다”면서 “이번에 NASA가 주관한 대회에 참석하기로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시상식은 5월 캐나다 토론토에서 개최되는 ‘국제우주개발콘퍼런스’에서 열린다. 올림푸스를 ... ...
UNIST, 개교 6년 만에 국내 교수 배출
2015.03.22
세 사람은 모두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출신이며, 박사과정에 재학 중 10편 이상 국제
저널
에 논문을 발표했다. 30세에 교수로 임용된 최 박사는 박사과정 중 총 23편의 논문을 냈으며, 이중 14편에 제1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최 박사는 “UNIST가 연구지원본부 안에 최첨단 장비를 모두 구비하고 ... ...
피부 욕창 찾아주는 ‘스마트밴드’ 나왔다
2015.03.19
피부 세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욕창진단 장치인 ‘스마트 밴드’를 개발해 과학
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얇은 투명 필름 위에 전극과 회로기판을 직접 인쇄해 피부의 전기저항을 알 수 있는 반창고 형태의 측정장치를 만들었다. ... ...
암세포 스스로 자살, 신개념 항암제 나온다
2015.03.16
성과가 뛰어난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
저널
‘셀’ 자매지인 ‘캐미스트리&바이올로지’(Chemistry&Biology) 3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아인슈타인에게 바치는 헌사
2015.03.08
때문이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아인슈타인에게 바치는 헌정판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저널
을 펼치면 곳곳에서 뉴스는 물론 다양한 논문으로 아인슈타인의 업적을 기념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100년 동안 현대 물리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장장 17쪽에 걸쳐 기사 3편에 담았다.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박사팀은 식물의 토양 내 세슘 흡수를 막는 물질을 새롭게 발견해 과학
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5일자에 게재했다. 세슘은 가장 위험한 방사성 원소 중 하나로 꼽힌다. 몸속에 들어온 후 절반 정도가 배출되는 생물학적 반감기도 110일 정도로 긴 편인데다, 동식물의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수중통신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지난해 12월 11일자에 게재됐다. 송경준 선임연구원이 새롭게 개발한 무전원 신호 증폭 장비를 들어 보이고 있다. - 한국기계연구원 ... ...
다른 사람 ‘눈치 보는’ 뇌세포 찾아냈다
2015.03.02
의대 연구원은 원숭이에게서 이런 기능을 하는 뇌세포를 발견하고 세계 3대 과학
저널
‘셀’ 2월 26일 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의학계에서는 ‘거울뉴런’이라는 뇌세포가 상대방의 행동을 보고 반응해서 비슷한 행동을 하거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사실 정도만 알려져 있었다. 상대방 생각을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